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전쟁미망인의 노동 경험과 주체화, 그리고 일상 연대 - 부산·경남지역 전쟁미망인의 구술을 중심으로 -

저자
김은경
서지
여성과 역사
발간일
2020
조회수
465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이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전쟁미망인의 구술을 통해 그들의 노동경험과 주체화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의 생계를 전담했던 전쟁미망인의 노동경험에서는 공사 영역이 따로 분리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구술자들의 노동세계를 물질적 생산물을 만드는 물질노동과 정동의 상호성을 특징으로 한 정동적 노동으로 나누어 고찰했다. 이를 통해 ‘생산노동/재생산노동’의 구분이 공사 이분법을 재생산해 왔던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둘째, 구술자들은 어머니와 며느리로서 역할 수행의 일환으로 물질노동과 정동적 노동을 했다. 그런 역할수행을 통해서 ‘일하는 자’로서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역할수행-노동을 통한 주체화는 한편으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예속화되는 과정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트라우마 공동체로서 가족이나 마을 구성원과의 상호 관계성을 (재)구축함으로써 사회적 인정을 획득하는 과정이었다. 셋째 구술자들은 노동을 통한 주체화 과정에서 ‘혼자살기’와 ‘연대하기’라는 삶의 전략을 구사했다. 가족 부양을 전담했던 전쟁미망인의 취약성은 이웃과의 연대를 공고히 했다. 이러한 공동체적 연대는 ‘아래로부터’ 전후 복구를 가능하게 한 원동력이었다.
이전글
19세기 초반 경상도 사대부 家에서 庶族의 역할과 실제
다음글
『曆中日記』를 통해 본 18세기 양반가 남성의 가사활동과 그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