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구술생애담을 통해 본 남・북・중 코리언 여성들의아들 낳기 문제와 젠더의식

저자
김종군, 박재인, 이미화
서지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발간일
2020
조회수
521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이 연구는 산아제한정책이 강화되던 시기 남・북・중 코리언 여성들의 출 산경험담을 통하여, 아들 낳기 강요에 대하여 각자의 방식으로 순종과 저항 의 복합적 행위성을 발휘했던 생생한 모습들을 살펴보았다. 아들 낳기 과제 에 대한 억압을 내면화하며 순종했던 모습은 다양한 행위로 표출되었고, 또 재생산권이 침해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남한 여성의 경우는 ‘의료 과잉화’의 문제로, 중국 조선족의 경우는 ‘위법’과 ‘다산 강요’의 문제로 드 러났는데, 아들 낳기 문제에 있어서 코리언 여성에게는 자신의 몸과 마음을 지킬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지 못한 ‘문화지체 현상(cultural lag)’이 일어났던 것이다. 이는 결국 가부장제적 억압을 내면화하면서 자신이라는 본래적 주 체를 소외시켜버린 삶이었다고 할 수 있으며, 그것은 산아제한정책이 강화 되었던 시대에 코리언 여성문제의 취약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여성들의 생애담에서는 아들 낳기 과제에 대하여 남성과 사회 에 책임을 분유하고자 하는 의식 변화가 보였는데, 이는 전근대적인 여성들 보다는 저항적인 모습으로 해석되었다. 게다가 자녀의 성별에 대한 가치판 단이 변화한 지점이 확인되었는데, 그 이면에는 자기 욕망을 투사하거나, 딸의 희생을 강요하는 등 또 다른 폭력으로 작용한 한계가 있었다. 남한 여성들의 경우는 딸의 사회적 진출에 관한 교육 열망으로, 북한과 조선족 여성의 경우는 딸들을 통한 경제적 위기 해결이라는 문제로 드러났던 것이 다. 그럼에도 이 여성들은 딸에게는 출산과 양육이 본능이자 의무라는 전통 적 모성 관념을 그대로 적용하지 않았고, 가부장제 모순에 문제를 제기하는 등 ‘탈(脫) 가부장제적 주체’로의 변화지점도 발견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변화가 2020년 현재 출산과 양육문제에 있어서 여성주의적 자각을 이뤄내 고 있는 3-40대 여성들의 어머니들에게서 시작되었다는 점이 중요하고, ‘어 머니와 딸의 연대의식’이 강화되면서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의지도 점차 강 화되고 있는 것 또한 현재 코리언 여성들의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이전글
아시아 선악형제담 비교연구-‘놀부와 흥부’․‘황금수박’ 유형을 대상으로-
다음글
구비문학 속 미혼모와 그의 자녀들을 향한 ‘폭력’ 서사를 통해 본 병리학적 상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