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가족가치관 변화의 연령-기간-세대 효과 - 부모의 기대충족과 전통적 성역할관을 중심으로 -

저자
정선영
서지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발간일
2021
조회수
959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본 연구는 가족가치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기간, 세대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계가치관 조사를 분석하였다. 가족가치관을 측정하는 문항 중 기간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1990년대부터 2018년까지 측정된 두 문항 – 부모의 기대충족, 전통적 성역할관-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각 개인은 기간과 세대라는 두 가지 집단에 동시에 소속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위계적 연령-기간-코호트 교차분류임의 효과 모형(HAPC-CCREM)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기대충족 동의 수준은 2010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낮아지고 있으며, 전통적 성역할관 동의수준은 2010년 급격히 낮아진 후 2018년 현재 약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다른 요인을 통제한 HAPC-CCREM 분석 결과, 기간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기대충족 동의수준의 경우 다른 기간에 비해 1996년이 유의하게 낮았고, 전통적 성역할관의 경우 1996년, 2001년, 2005년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에 2010년, 2018년은 유의하게 낮았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의 기대충족 동의수준은 연령이 높을수록 낮아지며, 전통적 성역할관은 연령이 높을수록 동의수준이 높았다. HAPC-CCREM 분석 결과는 이러한 연령효과는 부모 기대충족 동의수준의 경우 한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전통적 성역할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셋째, 두 가치관 모두 세대별로 보이는 변화의 양상은 일관된 패턴을 보이지 않으며, 이는 HAPC-CCREM 분석 결과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전글
채만식 문학에 나타난 ‘가족’과 ‘자본’:「심봉사」와 「흥부傳」 을 중심으로
다음글
유교윤리의 사회통합적 가능성과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