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장화홍련전」의 20세기 개작 텍스트들과 친밀성의 문제

저자
노지승
서지
한국고전연구학회, 韓國古典硏究 39
발간일
2017
조회수
1340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고소설 『장화홍련전』은 20세기에서도 소설과 영화의 형태로 개작되어 대중들에게 수용되어 왔다. 고소설 『장화홍련전』은 모성과 자매애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 근대 이후에 가족의 개념이 재구성된 상황에서도 활발하게 재생산될 수 있는 여지가 있었고 특히 여성 수용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텍스트였다. 1930년대 근대 작가인 이선희와 임옥인은 고소설 『장화홍련전』의 근대 독자로서 『장화홍련전』을 계모의 시선에서 재구성, 해체하는 다시쓰기를 시도한다. 이선희의 「연지」(1938)와 임옥인의 「후처기」(1940)는 신여성 출신 계모의 시선에서, 여성에게 강요된 모성과 가정 내 약자였던 여성의 자의식을 탐색하는 소설이었다. 근대 여성작가들이 고소설 『장화홍련전』에 대한 일종의 해체적 읽기를 시도했다면 1972년 영화 <장화홍련전>은 고소설『장화홍련전』에 내재되어 있는 악녀의 처벌이라는 기본적인 스토리를 유지하면서도 여성적 소통방식과 자매애 그리고 상속에 대한 여성의 권리 등을 더욱 확대 부각시켰다. 이렇듯 고소설 『장화홍련전』이 20세기적 이본들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은 『장화홍련전』이 모성과 자매애와 같은, 근대 가족 제도 안에서 보다 문제시 되었던 친밀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었고 이러한 주제가 근대의 독자들에게 『장화홍련전』의 20세기적 개작의 욕구를 불러 일으켰기 때문이다.
이전글
5·16 군사정부의 가족계획정책 입안 배경과 논리
다음글
사키모리 노래 防人歌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