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주체의 위기와 어머니 상실의 서사적 대응방식 연구 - 은희경의 「열쇠」, 천운영의 「월경」, 김애란의 「스카이 콩콩」을 대상으로 -

저자
정연희
서지
국제어문학회, 국제어문 71
발간일
2016
조회수
1425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열쇠」(은희경), 「월경」(천운영), 「스카이 콩콩」(김애란)의 주체 위기가 대상-어머니의 상실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위기의 양상과 소설적 대응방식을 살펴보았다. 주체의 위기와 관련하여 `아버지 부재`라는 오랜 화두가 있지만, 세 소설이 상실에 대응하는 방법을 남근 위주의 질서에 따라 말할 때 그 내부에서 해명되지 않는 의구심들이 남게 된다. 대상-어머니의 상실이 상징적 기표로서의 아버지에 이르는 주체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고 있음에 주목하고, 주체의 위기는 대상-아버지관계로만 볼 것이 아니라 어머니와 아버지에 이르는 대상관계의 `변천과 왕래`라는 보다 넓은 관점으로 조명될 필요가 있다. 「열쇠」의 나르시시즘적 자아와 「월경」의 불안정한 젠더 정체성과 「스카이 콩콩」의 상징적 환상은 어머니의 상실을 중심으로 한 위기에 대응하는 주체의 태도와 관련이 있다. `열쇠 찾기`, `월경하기`, `환상하기`가 성장하기의 키워드가 된다. 「열쇠」와 「월경」은 망상-분열적 위치의 영향 아래 있으면서도 `열쇠 찾기`(「열쇠」)에 비해 `월경하기`(「월경」)는 에로스의 탄력(`환한 달빛`)을 받는다는 점에서 경계에 대한 천착과 에로스의 응원을 함축하고 있다. 「스카이 콩콩」은 우울적 위치에 있음을 보여주는데, 창조적 승화를 통해 가족과 삶과 성장의 의미를 발견하고 사랑과 연민의 정서를 준비하는 것이다. 세 소설이 상실에 대응하는 방법은 망상-분열적 위치와 우울적 위치를 양 끝으로 하는 연속적이고 점진적인 스펙트럼으로 펼쳐진다. 이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의 대응방식에 대한 서사 미학적 변화와 차이에 대해 유형화의 가능성과 명명화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는 후고의 몫이다.
이전글
〈방한림전〉에 나타난 ‘갈등’과 ‘우울’의 정체
다음글
고전서사문학에서의 노년상과 현대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