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화엄사상의 가족치료적 함의

저자
전영숙
서지
새한철학회, 哲學論叢 4(50)
발간일
2007
조회수
1445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본 연구는 동양사상의 주된 영역인 화엄불교사상과 가족치료의 만남을 통하여 가족치료가 보다 성숙한 학문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가족치료는 20세기 중반에 서구에서 형성되어 후반에 와서야 꽃피우게 된 학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가족치료의 바탕이 되는 체계론적 사고를 오래 전부터 생활 속에서 호흡하고, 이론으로서가 아니라 체험적으로 익숙하게 느끼고 있다. 그것은 바로 천 수 백 년 동안 우리 문화와 정서에 영향을 미쳐온 화엄사상을 통해서이다. 화엄사상에 함축된 가족치료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엄법계연기사상과 가족치료의 체계론적 관점은 매우 유사하다. 십현문과 육상원융의 상즉상입은 가족체계를 유지하는 인공두뇌와 피드백의 원리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 육상은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의 조화로운 관계를 잘 설명하고 있어 기능적인 가족을 설명해주는 지침이 되고 있다. 둘째, 화엄의 보살정신은 가족치료자의 진정한 자질과 치료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 보살은 치료자의 모델이 되는 이상적인 인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보살의 서원은 치료자가 본받아야할 구도적 자세이다. 사섭법과 십바라밀은 치료 방법과 치료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화엄의 보살정신은 성장을 추구하는 적극적인 정신인 것이다. 셋째, 화엄의 선지식을 통하여 치료자의 올바른 태도를 배울 수 있다. 화엄사상은 내담자와 치료자, 치료와 깨달음으로 향하는 성장을 분리하지 않는다. 또한 개인의 깨달음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적 집단적 깨달음을 추구하고 있으므로 화엄사상의 가족치료적 함의는 매우 크고 의미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이전글
199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나는 연애 모티프의 두 양상 : 신경숙과 은희경 소설 비교 분석
다음글
재일 한민족 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