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大伴家持の防人關係長歌作品群における敍述の方法 : 七夕歌の傳統とその繼承

저자
박상현
서지
한국일본어문학회, 日本語文學 13
발간일
2002
조회수
1442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大伴家持가 防人가 겪는 이별의 슬픔에 공감하며 그들의 슬픔을 아파하면서 본 長歌 작품군을 만든 데에는 家持의 심경(757년에 일어난 奈良麻呂 사건으로 大伴 집안이 많은 희생자를 냄으로써 갖게 된 고독과 비참함)이 작용했다는 것은 충분히 고려된다. 하지만 그것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家持는 七夕歌에 나타난 견우와 직녀가 겪는 이별의 슬픔이라는 요소와 防人와 그의 가족이 체험하는 이별의 슬픔이 서로 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단, 家持가 본 長歌 작품군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주목했던 것은 견우와 직녀가 겪는 이별의 슬픔 그 자체가 아니었다. 오히려 생이별이든 사별이든 간에 거기에 내재되어 있는 <이별의 슬픔이라는 요소>였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挽歌 계열의 작품에서 많이 보이는 표현이 본 長歌 작품군에 적지 않게 불려졌다는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결국 家持는 견우와 직녀가 겪는 이별의 슬픔 그리고 그들이 겪는 이별의 아픔을 효과적으로 작품화하기 위해 고안된 서술 전환이라는 방법에도 눈을 돌려, 그 방법을 계승하여 防人의 이별의 슬픔을 테마로 한 본 長歌 작품군을 완성했다고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제3자적 입장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해서 당사자적 입장으로 끝난 본 長歌 작품군은 그냥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서술전환을 노래 제작상의 한 방법으로서 인식했던 家持의 구성 의식에 의해 제작되었다, 라고 하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이전글
18세기 友道論의 문학·사회적 의미
다음글
여성소설에 나타난 <집>의 의미 연구 : 1980년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