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구비 효행설화의 거시적 조망

저자
김대숙
서지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3
발간일
1996
조회수
1288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오늘날 피상적으로 관찰하기에는 한국 설화의 연구가 상당히 진전된 것으로 보여지지만 실제로 점검해 보면 그간의 연구는 한정된자료를 놓고 대체로 미시적으로 진행되어 온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그 지역출신 전공자에 의해 녹음기로 채록되고 구술 정리된 한국구비문학대계(이하 대계로 약칭 할 것임) 1차분이 완간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구비설화 자료들을 총망라한 유형분류체계가 수립된 이 시점에서 설화유형을 크게 놓고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즉 상위유형별로 전체적인 자료의 양상과 의미를 파악하는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상위유형 전체의 구도를 정확히 파악할 때, 유형별 성격도 확실해지고 그다음으로 부분의 문제, 즉 변이유형이나 특수한 유형의 성격도 확연히 가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도 효행설화 전체를 검토하는 것은 참으로 어렵게 느껴졌었다. 그래서 일단 비슷한 성격이면서도 또다른 열녀설화를 먼저 정리하고, 이어서 그와는 좀 다른 방식이지만 효행설화 전체가 담고 있는 의미망에 접근하려는 것이다. 즉 한국사회에서 가장 전승력이 강했던 효행에 얽힌 이야기는 무엇을 주장하고 있으며, 어떤 조건이 이 이야기들을 매듭짓고 풀어가고 있는지, 효의 전반적 의미와 가치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 것인지 등을 밝혀 보고자 한다.
이전글
가족내 여성지위의 변화 : 유교전통을 중심으로
다음글
Society and Conflict in Barnet , Hertfordshire , 1337 - 1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