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藤村の『破戒』の主題について -西歐文學の影響と丑松の意味-

저자
安部和美
서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日本硏究 10
발간일
1995
조회수
1262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島崎藤村(1872∼1943)은 明治時代의 浪漫主義 詩人으로서 높이 評價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日本의 풍속에 西歐文學을 積極的으로 受容하여 定着化시킨 自然主義 作家로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藤村이 1906(明治39)年에 發表한 小說『破戒』는 日本의 本格的인 自然主義의 出發點이 된 劃期的인 作品으로 評價되고 있다. 『破戒』의 評價에 대해서는 從來, 部落民에 대한 社會的 偏見에 抗議하는 社會問題를 中心으로 한 社會小說的인 性格을 重視하는 立場과 主人公, 丑松의 苦惱를 作者 自身의 投影으로 보고 그 苦惱의 告白을 中心으로 한 告白小說로서의 性格을 중시하는 立場, 그리고 이런 두가지 見解를 統一的으로 把握하려는 立場에서 다루어져 왔다. 本稿에서는 『破戒』의 主題에 관해 考察함에 있어서 上記의 세가지 立場에 따로 구애 받지 않고 論을 進行하고자 한다. 主題의 考察에 있어서는 우선 『破戒』의 成立過程을 살펴보면서 西歐文學과의 影響關係에 관하여 檢討하고, 다음으로 藤村이 丑松을 통해서 말하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즉 丑松의 意味에 대해서 丑松의 心理描寫를 中心으로 作品分析을 통해서 考察해 보았다. 藤村은 1887年 9月에 明治學院에 入學하여 미국인 宣敎師들로부터 基督敎精神을 배우며 西歐文學에 관해서 깊은 關心을 보였다. 단테(Dante)의 『신생』·『신곡』, 세익스피어(Shakespeare)의 『햄릿』, 루소(Rousseau)의 『告白』등은 基督敎 精神에 뿌리를 둔 作品인데 藤村은 그중 특히 루소의 『告白』에서 강한 影響을 받았다. 『破戒』에서의 猪子連太郞에는 루소의 像이 그려지고 있다. 藤村은 小諸時節에 도스토예프스키(Dostoevski), 투르게네프(Turgenev), 톨스토이(Tolstoi) 등이 러시아 作家의 作品들은 耽讀했다. 『破戒』는 人物의 構成과 小說의 構成上 도스토예프스키의 『罪와罰』, 父子間의 思想的인 世代差異로 인한 갈등을 描寫한 點에서 투르게네프의 『아버지와 아들』의 影響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藤村은 西歐文學을 통해서 리얼리즘을 描寫法을 배우며, 小諸에서 自然의 風物과 農村 사람들의 生活 모습을 觀察하여 그것을 文章으로 스케치하였다. 이것을 정리하여 『千曲川의 스케치』를 완성하였다. 이 作品 속에 있는 「農夫의 生活」「收穫」「小作人의 집」「屠牛」등은 『破戒』의 第四章, 收穫의 情景과 風間敬之進의 家族들의 描寫와 第十章의 上田屠牛場의 描寫에 應用되고 있다. 『破戒』의 素材가 된 部落民에 대해서는 藤村이 直接 信州의 穢多町에 가서 調査한 結果에 의거하여 쓰여지고 있다. 猪子連太郞나 大日向이라는 人物像과 第八章에서 描寫된 穢多町의 사람들이 生活하는 모습들은 藤村이 그때 보고들은 經驗에서 創作된 것이다. 『破戒』에서 描寫된 猪子連太郞는 自身이 部落民 出身임을 社會에 당당하게 宣言하고 部落民에 대한 偏見에 抗議하는 積極的인 態度를 취하지만, 主人公 丑松에 있어서는 社會에 抗議하는 連太郞的 人間像으로서 設定된 것이 아니라 아버지의 「戒律」이라는 丑松 內部의 封建的 觀念과 새로운 自我와의 葛藤속에서 苦惱하는 人間像으로 描寫되었다. 苦惱하는 丑松의 描寫에는 성경의 마태복음에서 引用된 말이나 場面設定 등에 있어서 성경의 句節과 類似性을 發見할 수 있다. 丑松가 告白하는 場面은 『破戒』의 클라이막스라 할 수 있는데, 그가 마루에 엎드려 머리를 조아려서 제자 앞에 용서를 비는 모습은 우리가 볼 때 너무나도 卑屈하고 妥協的인 態度로 그려지고 있다. 그 理由는 무엇인가? 그 理由의 하나는 藤村이 당시의 社會의 歷史的인 制約으로부터 完全히 벗어나지 못하고 그 現實에 妥協해서 살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일 것이고, 또 하나의 重要한 理由는 罪를 범한 사람이 告白을 통해서 하나님 앞에 용서를 빌듯이 丑松個人의 自己呵責의 苦惱를 告白을 통해서 救濟한다는 基督敎 思想에 의거한 自己告白에 重點을 두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결국, 『破戒』에 있어서의 藤村이 丑松를 빌어 말하려고 한 主題는 藤村自身의 靑春시절의 치열한 苦惱에 관한 告白이었고, 그의 告白은 다음에 쓴 長編小說 『봄(春)』으로 이어져 가는 것이다.
이전글
매장된 기호 : Sam Shepard 가족극에서의 비언어적 요소
다음글
韓·中·日 近代小說에 나타난 <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