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논문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논문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리오 버사니의 퀴어한 부정성 : 친밀함을 넘어서는 <친밀함의 가능성들>

저자
윤조원
서지
한국비평이론학회
발간일
2017
조회수
194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친밀함의 가능성들에서 리오 버사니는 가까이 있음을 전제하되 성적인 애착을 결정적 기반으로 삼거나 성욕의 만족을 불가피한 목적지로 삼지 않는 친밀함의 가능성들을 상상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그의 저작 친밀함을 창으로 삼아, “반사회적 논제”로 동성애에 관한 논의의 가능성을 확장시킨 버사니의 ‘퀴어’한 논점들을 살펴보고 그가 남성동성애를 매개로 전개하는 비평의 의미를 검토한다. 특히 1987년에 발표된 버사니의 기념비적 에세이 「직장(直腸)이 무덤인가?」가 던지는 질문들을 통해 그의 문제틀과 이후 전개될 비평적 시선의 궤적을 살펴볼 것이다. 이 글에서 그가 ‘부정성’의 정치적 의미를 견인하는 현실의 존재 양식이자 정체성으로서 동성애를 매개로 남성성의 특권적 모델을 허물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약 20년 뒤에 출판된 친밀함에서 그 질문들이 어떻게 다시 자아와 관계라는 핵심어로 표면화되고 응답되는지를 가늠해 보고자 한다. 퀴어 주체의 손쉬운 복권에 대한 회의주의적 입장을 고수해 온 그의 저항적 사유는 ‘반사회적’이라는 간판을 달게 되었지만, 그의 그 ‘반사회성’은 섹스의 폭력성과 마조히즘의 자아 파괴에 대한 성찰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관계의 가능태를 모색한다. 이 글은 동성애를 매개로 하는 버사니의 부정성의 사유가 기존의 사회적 관계가 전제하는 주체와 욕망의 함정을 넘어서는 새로운 사회성의 모델을 향하는 일종의 윤리적 변증법의 구도 위에 서 있다고 보고, 이것이 시사하는 퀴어 존재론의 함의들에 비평적으로 접근한다.
이전글
페미니스트의 돌봄—문화정치학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를 중심으로
다음글
위태로움, 로렌 벌랜트, 그리고 대항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