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저서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저서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환원근대

저자
김덕영
서지
발간일
2014년 04월 25일
조회수
980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인문정신의 탐구 16권. 저자가 본격적으로 우리 사회에 대한 문제에 천착하기 시작하는 첫 번째 작업으로 그것은 바로 ‘한국의 근대화 담론’에 대한 것이다. 우리 학계에서 지금껏 논의된 근대화 담론들은 크게 내재적 발전론, 식민지 근대화론, 압축적 근대화론 등이다.

하지만 이 담론들의 결정적 문제는 바로 근대화 과정을 주로 ‘경제’에만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자연스레 우리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 인식으로 이끄는데 결국 그것은 1960년대 이후 급격한 경제발전 과정을 겪은 박정희 시대와 자연스레 중첩된다.

우리 사회는 언제부터인가 모든 것을 ‘경제’ 문제로만 보는 데 익숙해져버렸다. 그래서일까. 우리 스스로 우리식의 자본주의를 ‘천박한 자본주의’라고까지 일컫고 있다. 이는 곧 우리의 근대화 과정이 오로지 경제성장에만 매달려온 결과의 산물이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 김덕영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 대해 새로운 개념어, 즉 ‘환원근대’로 분석·조망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과학계 전반이 ‘이론적 빈곤’에 따른 거시적 담론 제공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한 점을 염두에 둔다면, 저자는 이론사회학과 고전사회학 그리고 현대사회학 이론을 치밀하게 분석하고 풍부하게 인용하면서 그 바탕 위에 한국 사회 분석에 접근하고 있다.


목차
서문 7

제1장 논의를 시작하면서
1. 문제의 제기 19
2. 사회학적 보편사를 위하여: 접근 방법을 찾아서 25
3. 이 책의 범위와 한계 31

제2장 환원근대란 무엇인가
1. 근대화는 서구화인가 37
2. 사회학 이론에서 근대화 이론을 찾다 43
1) 콩트, 스펜서, 마르크스 44
2) 뒤르켐, 짐멜, 베버 49
3) 하버마스와 루만 56
4) 분화와 개인화: 사회학적 근대화 이론의 핵심 59
< 보론> 철학과 근대성: 칸트와 니체 62
3. 환원근대의 네 차원 65
4. 나는 서구중심주의자인가 68
5. 기존 근대화 이론의 비판적 검토 72
1) 내재적 발전론 72
2) 식민지 근대화론 75
3) 압축적 근대화론 79

제3장 환원근대의 발전 과정과 추진 세력
1. 환원근대의 기원과 전개 87
2. 대(大)삼성 한국, 소(小)한국 삼성: 국가-재벌 동맹자본주의 108
3. 박정희 정권은 강력한 국가가 아니라 허약한 국가다 121
4. 새마을운동은 자발적 근대화 운동인가 143
5. 환원근대의 인력시장, 학교 158
6. 환원근대의 해결사, 가족 170
7. 환원근대의 전도사, 기독교 191

제4장 환원근대의 구조현상학
1. ‘7.4.7’과 ‘4만 달러 시대’: 환원근대의 언어 211
2. 정치와 경제에 의한 전 사회의 부속화와 식민지화 226
3. 개인주의 시대에 집단주의 윤리가 242
4. 규율사회를 넘어 억압사회로: 환원근대의 교육 261
5. 환원근대의 작동원리, 공장사회 273
1) 새마을운동 274
2) 아파트 278
3) 아이돌 그룹과 K팝 285
6. 경제적 근대주의와 문화적 전통주의: 환원근대와 전통문화 293
1) 전통이 근대의 토대가 된다 295
2) 전통은 근대를 위해 파괴된다 300
3) 전통이 화석화되고 박제화된다 304
7. 만들어진 이미지 ‘서구’: 환원근대의 선진국 담론 308

제5장 환원근대를 넘어서
1. 근대의 갈등과 비극: 환원근대의 대차대조표 333
2. 근대의 토대는 근대다 336
3. 경제적 근대에서 사회적 근대로 343
4. 사회의 개인들에서 개인들의 사회로 344

에필로그 351

참고문헌 355
찾아보기 377
 
이전글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
다음글
1960년대 사회 변동과 자기 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