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저서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학술연구
  • 저서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대동민주 유학과 21세기 실학

저자
나종석
서지
비(도서출판b)
발간일
2017년 08월 28일
조회수
964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서양철학을 전공한 저자는 특이하게도 동양 유학사상을 바탕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성격, 특히 한국 민주주의론을 재조명하며 ‘대동민주주의론’을 주창하고 있다. 무려 1,055쪽에 달하는 대작이다. 이 책에서 저자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민주주의를 가족, 시민사회, 국민국가 그리고 유교적 전통과 관련하여 다각도에서 검토하여 우리의 민주주의가 지니는 역사성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가 이룩한 민주주의의 역사적 경로의 독특성을 유교적 정치문화의 영향사와 그것의 질적 전환의 시각에서 해명함으로써 한국의 역사를 바라보는 기존의 서구 중심주의적 사유 방식을 비판적으로 극복하고자 한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_ 7

서론 21

제1부 한국 가족사회와 민주주의

제1장 한국사회에서 가족의 구조 변동과 그 문제들
들어가는 말 37
Ⅰ. 근대가족의 원리와 그 기본 형태 43
Ⅱ. 한국 가정생활에서 근대적인 원리의 관철 경향 58
Ⅲ. 평등주의 및 개인주의 관철과 그 문제 77
나가는 말 97

제2장 21세기 현대사회와 가족의 다양성 문제
들어가는 말 101
Ⅰ. 가족 민주화와 미래지향적 대안 가족 104
Ⅱ. 기든스의 민주적 가족이론의 문제점 109
Ⅲ. 일부일처제와 가족의 다양성 문제 126
Ⅳ. 일부일처제의 변형과 동성결혼제도 132
나가는 말 137

제3장 한국 가족주의와 유교 전통
들어가는 말 139
Ⅰ. 현대 한국 가족제도의 혼종성 141
Ⅱ. 유교적 전통과 한국 가족주의의 역사적 기원 147
Ⅲ. 유교적인 공사 구분의 성격 159
Ⅳ. 유교적인 연계적 사유 모델의 내적 동력학과 한국 가족주의 165
나가는 말 172

제4장 유가적 공사관과 서구 공사관
들어가는 말 175
Ⅰ. 서구 공사 구분의 두 패러다임 178
Ⅱ. 공화주의적 공사관과 아시아적 전제정 183
Ⅲ. 자유주의적 공사 구별과 그 딜레마 196
Ⅳ. 유가적 공공성 이론의 성격과 그 가능성 209
Ⅴ. 돌봄과 자율성의 종합 이론으로서 유교적 인정의 정치이념 218
나가는 말 233

제5장 조선의 유교적 능력주의와 한국 가족주의의 또 다른 기원
들어가는 말 235
Ⅰ. 과거제도와 조선의 유교적 능력주의 241
Ⅱ. 유교적 능력주의의 평등관 249
Ⅲ. 유교적 평등주의와 민주공화주의 257
Ⅳ. 능력주의 원칙의 한계와 조선의 과거제도 폐단 280
Ⅴ. 유교 전통과 한국사회 근대성 문제 286
Ⅵ. 능력주의와 서구 근대 291
Ⅶ. 서구 근대와 다른 동아시아의 길에 대한 철학적 성찰 303
나가는 말


제2부 한국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제6장 한국사회에서 기업 민주주의의 가능성
들어가는 말 317
Ⅰ. 자본주의적 경제 시스템과 민주주의 321
Ⅱ. 한국경제 구조 변동과 기업 민주주의 330
Ⅲ. 유교적 가족주의 전통과 한국 경제구조의 특수성 340
Ⅳ. 한국사회에서 기업과 공공 영역에 대한 신뢰도의 실증적 연구 352
Ⅴ. 능동적 신뢰와 한국 기업 민주주의 발전 방향 363
Ⅵ. 사회복지국가 대 자본주의 너머에 대한 상상의 문제 375
나가는 말 388

제7장 한국 시민사회의 특성과 그 방향에 대한 성찰
들어가는 말 391
Ⅰ. 시민사회 개념 규정과 분석 틀 398
Ⅱ. 한국 시민사회에 대한 경험적 자료 분석 404
Ⅲ. 국가권력과 시장권력 결합에 의한 시민사회의 공공성 위기 414
Ⅳ. 한국 시민사회의 규범적 방향에 대한 성찰 419
Ⅴ. 한국 시민사회의 민주화와 탈식민적 사유 426
나가는 말 440

제8장 유교적 연고주의, 한국 현대사회 그리고 연고주의의 민주화
들어가는 말 443
Ⅰ. 동아시아 전통, 탈식민적 사유, 보편주의 444
Ⅱ. 조선 후기 사회와 근대 시장경제 사이의 연관성 456
Ⅲ. 황도유학과 조선 유교 전통의 국가주의적 유학으로의 변형/변질 470
Ⅳ. 연고주의 문화의 민주화와 유교 문화의 변형 484
나가는 말 492

제9장 조선 후기 대동세계 이상과 한국 민주주의의 정신사적 조건
들어가는 말 495
Ⅰ. 유교적 능력주의 사회와 조선의 노비 문제 497
Ⅱ. 유교적 대동 이념의 근본 주장 508
Ⅲ. 천하위공과 조선 후기에서 동학 이전까지의 대동 이념 520
Ⅳ. 갑오농민전쟁과 천하위공의 유교적 민본주의 542
Ⅴ. 급진적 유교적 민본주의와 온건 유교적 민본주의의 분화와 대립 550
Ⅵ. 한말 이후 일제 식민지시기 대동유학의 지속 556
Ⅶ. 백범 김구의 독립정신과 유교 전통 572
나가는 말 582

제3부 한국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제10장 탈민족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들어가는 말 589
Ⅰ. 민족주의의 배타성과 폭력성 문제 593
Ⅱ. 민족주의의 다양성 603
Ⅲ. 세계화와 민족주의 612
Ⅳ. 탈민족주의 담론의 무비판성 문제 619
나가는 말 631

제11장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만남의 가능성
들어가는 말 633
Ⅰ. 근대 민족국가의 이중성 636
Ⅱ. 민주주의와 경계의 도덕성 646
Ⅲ. 민족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 가능성 667
Ⅳ. 민족적 책임, 역사적 책임, 그리고 보편주의 문제 680
나가는 말 699

제12장 한국의 역사적 경험에서 본 세계시민주의와 대동민주주의
들어가는 말 703
Ⅰ. 대동적 세계시민주의로서 한국의 저항적 민족주의 704
Ⅱ. 대동민주주의로서 한국 민주주의 724
Ⅲ. 대동민주주의와 한국 근대성 764
나가는 말 772

제4부 유교적 정치문화와 한국 민주주의

제13장 일본의 황도유학과 한국의 국가주의적 충성관의 탄생
들어가는 말 775
Ⅰ. 19세기 서세동점 시기 개화파의 대응 780
Ⅱ. 국가주의적 유교 탄생에 대한 오해 788
Ⅲ. 일본 유학 전통에서 충효관의 특성 799
Ⅳ. 일제 강점기 황도유학 유입과 그 확산 807
나가는 말 818

제14장 한국 민주주의와 유교 문화
들어가는 말 821
Ⅰ. 한국의 사회적 상상으로서 유교적 전통 826
Ⅱ. 유교망국론 829
Ⅲ. 유교 전통과 민주주의 836
Ⅳ. 선비정신과 한국 민주화운동 846
Ⅴ. 민주화운동과 유교 전통의 변형 855
Ⅵ. 유교 문화의 현대화, 대동민주주의 그리고 비판적 동아시아주의 865
나가는 말 870

제15장 문화와 정치
들어가는 말 875
Ⅰ. 민주주의적 평등 원리와 ‘집단지성’ 현상 878
Ⅱ. 촛불집회와 민주주의 논쟁 889
Ⅲ. 정치와 적대성(‘정치적인 것’)의 문제 897
Ⅳ. ‘정치적인 것’과 민주적 정치문화 912
Ⅴ. 유교적 정치문화와 한국 민주주의 923
나가는 말 937

제16장 한국사회에서 헌법애국주의 및 공화주의적 애국심 논쟁에 대하여
들어가는 말 939
Ⅰ. 한국에서 헌법애국주의 이론 948
Ⅱ. 한국에서 공화주의적 애국심 이론 961
Ⅲ. 헌법애국주의 논리의 한계 966
Ⅳ. 한국에서 논의되는 헌법애국주의 담론의 문제 978
Ⅴ. 언어, 민족주의, 타자 986
나가는 말 996

참고 문헌 _ 999
사항 찾아보기 _ 1029
인명 찾아보기 _ 1045
 
이전글
열정으로서의 사랑
다음글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