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문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문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이 시대의 사랑

저자
최승자
서지
문학과 지성사
발간일
1981.09.20.
조회수
252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등단작으로 처녀 시집의 제목을 삼은 『이 시대의 사랑』에서 그는 정통적인 수법으로는 감당할 수 없었던 뜨거운 비극적 정열을 뿜어 올리면서 이 시대가 부숴뜨려온 삶의 의미와 그것의 진정한 가치를 향해 절망적인 호소를 하고 있다. 이 호소는 하나의 여성이기에 앞서 인간으로서의 사랑과 자유로움을 위한 언어적 결단이기도 하다.
 
[시인의 산문]
 
상처받고 응시하고 꿈꾼다. 그럼으로써 시인은 존재한다. 그는 내일의 불확실한 희망보다는 오늘의 확실한 절망을 믿는다. 그리하여 시는 어떤 가난 혹은 빈곤의 상태로부터 출발한다. 없음을 뚫어지게 바라보면서, 없음의 현실을 부정하는 힘 또는 없음에 대한 있음을 꿈꾸는 힘, 그것이 시이다. 그 부정이 아무리 난폭하고 파괴적인 형태를 띤다 할지라도 그것은 동시에 꿈꾸는 건강한 힘이다. 그리하여 가난과, 그 가난이 부정된 상태인 꿈 사이에서 시인은, 상처에 대한 응시의 결과인, 가장 지독한 리얼리즘의 산물인 상상력으로써 시를 만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로써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밥벌이를 할 수도 없고 이웃을 도울 수도 없고 혁명을 일으킬 수도 없다. 다만, 다른 사람들이 배고파 울 때에 같이 운다든가, 다른 사람들이 울지 않을 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감히 울어 버릴 수 있다는 것뿐이다. 시인이 할 수 있는 소위 가장 건설적인 일은 꿈꾸는 것이 고작이며, 그것도 아픔과 상처를 응시하는 <지극히 개인적인> 부정의 거울을 통해 비추이는 꿈일 뿐이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 1981년 1월~6월
일찍이 나는
개 같은 가을이
사랑 혹은 살의랄까 자폭
해남 대흥사에서
네게로
여자들과 사내들
다시 태어나기 위하여
나의 詩가 되고 싶지 않은 나의 詩
두 편의 죽음
버려진 거리 끝에서
꿈꿀 수 없는 날의 답답함
올여름의 인생 공부
삼십 세
과거를 가진 사람들
어느 여인의 종말
슬픈 기쁜 생일
청파동을 기억하는가
우우, 널 버리고 싶어
 
제2부 1977년~1980년
비 오는 날의 재회
첫사랑의 여자
선잠
가을의 끝
사랑받지 못한 여자의 노래
내 청춘의 영원한
이제 나의 사랑은
크리스마스이브의 달
버림받은 자들의 노래

장마

허공의 여자
청계천 엘레지
부질없는 물음
외롭지 않기 위하여
술독에 빠진 그리움
너의 약혼 소식을 들은 날 너에게
시인 이성복에게
외로움의 폭력
 
제3부 1973년~1976년
부끄러움
내력
봄밤
황혼
사랑하는 손
잠들기 전에
이 시대의 사랑
편지
수면제
억울함
비․꽃․상처
무서운 초록

자화상
너에게
걸인의 노래
만리포 마카로니 웨스턴
불안
 
해설 | 사랑의 방법 (김치수)
이전글
와일드 시드
다음글
바람이 우리를 데려다 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