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한국 여성·가족·사회변화 70년

저자
장미혜
서지
한국학중앙
발간일
2017년 05월 25일
조회수
756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광복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에 따른 여성과 가족 연구는 가족학, 인류학, 여성학,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복지학, 법학, 아동학 등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 이루어져 왔다. 여성과 가족에 대한 연구는 개별 학문 분과 안에서 해당 학문의 성격 및 관점, 연구 방법에 따라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각 학문 영역에서 연구를 통해 밝혀낸 성과들에 관한 학제 간 상호 교류는 아직 미진한 편이고, 그동안 여성과 가족을 바라보는 시각은 연구자의 관점과 학문 분과의 성격에 따라 이질적으로 해석되어왔다. 따라서 이 책은 개별 분과 학문에서 진행된 한국 사회의 변화에 따른 여성과 가족 연구의 지형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그동안 산발적으로 이루어진 기존 여성 연구와 가족 연구의 전체적인 성과를 파악하여 후속 연구가 필요한 부분과 상대적으로 부족한 분야가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과 학문 간의 교류를 통해 그동안 한계로 지적되어 온 상호 연구 성과 공유와 학제 간 연구 촉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기존 연구 성과 및 한계
3 연구 내용 및 방법
4 연구 배경
 
여성의 일상적 삶과 젠더정체성의 변화
1 여성의 일상적 삶과 젠더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형
2 가부장적 질서의 재강화와 모성 담론의 균열: 광복 이후~1950년대
3 근대화 프로젝트와 여성성의 동원/분화: 1960~1980년대
4 민주화와 젠더정체성의 다중화: 1990년대
5 후기근대적 불안과 유동하는 젠더정체성: 2000년대 이후
6 여성의 일상적 삶과 젠더정체성에 관한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
 
여성의 교육과 노동 참여의 변화
1 여성의 교육과 노동에 관한 연구 지형
2 정부수립과 한국전쟁 전후 사회 혼란기: 광복 이후~1950년대
3 국가 주도형 산업화의 진전: 1960~1970년대 중반
4 경제성장의 안정화와 여성운동의 정치 세력화: 1980~1990년대
5 여성노동 연구의 다양화와 지평적 확대: 2000년대 이후
6 여성의 교육과 노동에 관한 향후 연구 과제
 
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삶
1 가족의 변화와 여성의 삶에 관한 연구 지형
2 제도사 연구 및 가족 연구의 제도화: 광복 전후~1950년대
3 본격적 가족 연구의 전개: 1960~1970년대
4 가족 연구의 질적 전환: 1980년대
5 가족의 변화와 가족 연구: 1990년대 이후
6 최근 가족 연구의 동향
7 여성과 가족 연구의 향후 과제
 
여성과 가족 연구의 향후 과제
1 한국 여성·가족·사회변화 연구 경향
2 한국 여성·가족·사회변화 연구의 향후 과제
 
부록
미주

 
이전글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다음글
한중 여성 트랜스내셔널하게 읽기 지식,인구,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