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현대 한국의 인간 재생산

저자
배은경
서지
시간여행
발간일
2012년 06월 28일
조회수
745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저출산이 사회의 화두가 된 지도 벌써 수년이 지나고 있다. 이 책은 한국 전쟁 이후, 현대 한국 사회가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사회적 발전 궤적을 추적하면서, 아이 낳기가 어떻게 여성들의 일로 여겨졌고 여성들은 어떻게 자기 삶 속에 이 일을 위치 지워왔으며 어떻게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출산과 모성에 대한 상상력이 구성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1장. 인간 재생산과 여성의 모성
 
1. 여성의 삶과 모성
2. 인간 재생산(Human Reproduction)의 개념
3. 가족계획사업과 한국 여성의 인간 재생산
4. 195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출산 억제의 욕구와 저출산 추세
 
2장. 전후의 혼란상과 출산조절 여성운동의 모색
 
1. 1950년대 한국사회와 여성
1) 정치적 격변과 한국 여성
2) 출산에 관한 여성의 욕구
2. 1950년대 출산조절의 실태와 담론
1) 출산조절 수단 불비와 인공유산 만연
2) 출산조절 찬반론의 전개와 근거
3. 여성들에 의한 출산조절 보급 활동 : 대한어머니회
1) 여성운동으로서의 출산조절운동
2) 대한어머니회의 출산조절 보급운동
3) 한국적 출산조절 여성운동의 좌절
 
3장. 조국 근대화를 위한 가족계획
 
1. 1960년대 한국 사회와 여성
1) 박정희 집권과 ‘조국 근대화’를 향한 돌진
2) 주부와 여성노동자 : 조국 근대화를 이끈 여성상
2. 1960년대의 가족계획사업
1) 가족계획의 국책사업화 주장 등장
2) 한국 가족계획사업의 국제정치적 배경
3) 가족계획사업의 출발 : 1961년∼1963년
4) 가족계획사업의 본격 추진 : 1964년∼1971년
3. 가족계획사업의 여성 수행자들
1) 가족계획 요원
2) 가족계획어머니회
 
4장. 모성의 왜곡과 출산의 가족전략화
 
1. 1970년대 한국사회와 여성
1) 유신체제와 새마을운동 : 개발독재로 유지된 경제성장
2) 딸에서 주부로 : 가족역할 속에서 이뤄진 여성 노동
2. 1970년대의 가족계획사업
1) 사업 방식의 전환
2) 끼우거나 먹거나 수술 받거나 : 가족계획사업이 보급한 출산조절 수단들
3) 가족계획사업의 자기표상과 담론들
3. 출산율 급락의 비밀: 가족전략으로서의 출산과 ‘근대적 모성’
1) 국가의 동원인가 여성의 선택인가
2) 계층상승 및 가족지위생산 전략으로서의 ‘가족계획’
3) 낳는 어머니에서 기르는 어머니로
4)‘여자가 알아서’: 가부장제 권력과 여성 자율성의 이중성
 
5장. ‘저출산’과 가족계획사업의 유산
 
1. 저출산의 사회문제화와 정책영역화
2. 저출산 문제의 국가주의적 전유
3. 가족계획사업의 성공 신화 벗겨내기
1) 1960년대 초의 출산율 저하
2) 1960년대 중반∼1970년대 초의 출산율 저하
3) 1970년대 중반 이후의 출산율 저하
4. 1990년대 말 이후 출산율 저하는 여성들 탓인가?
1) 아직도 여성들 대부분은 어머니가 된다.
2) 20∼30대 여성들의 현실: 만혼화와 일-가족의 이중부담
5. 가족계획사업의 유산과 저출산 담론에서 여성의 위치
6. 저출산 담론의 여성주의적 전유를 위하여: 모성 경험의 사회적 인정을 고민하자
 
참고문헌 

 
이전글
만들어진 전통
다음글
한국 여성·가족·사회변화 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