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공동체의 이론들

저자
하르트무트 로자,라스 게르텐바흐,헤닝 라욱스,다비트 슈트레커 (지은이),곽노완,한상원 (옮긴이)
서지
라움
발간일
2017-10-30
조회수
877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공동체는 현대 사회에 관한 정치적인, 그리고 사회과학적인 용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다채롭고 강력한 개념이다. 현대성의 개념적 창고에서 “공동체”는 하나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언제나 계속해서 추방되고, 소환되고, 부정되고, 배척되면서도, 공동체는 현대 사회에 관해 가장 자주 사용되는 주제어에 속한다.
 
일상 언어 역시 매우 높은 빈도로 이 단어를 사용한다. 이 때 흥미로운 것은 [공동체라는 단어의] 사용방식의 무수한 다층성에도 불구하고 그 규범적인 함축이 대개 긍정적이라는 것이다. 공동체는 일상적 의식에 있어 긍정할만한 가치를 지닌 심급으로 간주되며, 그 개념은 따스함, 보호, 사랑, 우정 그리고 신뢰 등을 상징화하는 감정적 은유들로 채워진다. 

목차
서론
1. 공동체 개념의 문화사적 체계론
1.1 두 종류의 공동체
1.2 19세기 공동체와 사회의 분리
1.3 퇴니스와 플레스너: 공동체인가 사회인가?
1.4 사회학의 고전가들과 그 후계자들의 공동체 개념
2. 공동체적 관계들의 변동
2.1 공동체의 상실
2.2 후기현대에서 공동체의 회귀
2.3 공동체의 형태변동: 탈전통 공동체화
3. 공동체화의 메커니즘
3.1 공동체의 내부: 체험, 도취 그리고 황홀
3.2 공동체의 외부: 타자에 대한 경계와 이방인
3.3 공동체의 상상력
4. 공동체의 기능들
4.1 정체성: 성공적 인격형성의 전제로서 공동체
4.2 사회적 자본: 사회의 토대로서 공동체
4.3 공화주의: 민주주의의 조건으로서 공동체
5. 공동체의 정치: 규범적 문제들
5.1 정의 규범의 정당화에서 인격 개념의 의미
5.2 공동체와 정의 원칙의 정당화
5.3 공동체와 정치적 질서
5.4 다문화주의와 소수자의 권리
6. 공동체의 해체
6.1 성스러운 공동체들 그리고 콜레쥬 드 소시올로지
6.2 공동체에 대한 해체적 입장들
6.3 공동체와 정치적인 것
결론: 논쟁적 개념으로서 공동체
 
이전글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인과 공동체
다음글
유교 가부장제와 가족, 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