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조선의 가족 천개의 표정

저자
이순구
서지
너머북스
발간일
2011년 11월 18일
조회수
918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여성사와 가족사를 전공하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으로 재직 중인 저자는 조선시대에 중국과 같은 부계 중심의 가족 제도 시행은 결국 실패했다고 간주하며 '조선의 여자들은 오랜 기간 남자와 동등한 재산권을 통해 특별한 경제 능력을 보유했으며 이는 세계 어디에도 흔치 않은 일'이라 지적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에서 여자들이 통장관리를 하는 재산 관리 감각이 여기에서 연유하는 것일까?
『조선의 가족, 천 개의 표정』에는 적처와 적자, 종부, 종손, 양자, 서얼, 첩, 기생 등 다양한 가족들이 등장한다. 여기 사연의 주인공들 중에는 이른바 좀 성공한 사람도 있고 영 일이 잘 안 풀린 사람도 있다. 그러나 그들은 각자 자신의 문제에 대해 나름의 대처 방식을 찾고 또 그것을 적용하려고 애썼다. 그것만큼은 잘나가던 사람이든 못나가던 사람이든 서로 다르지 않았다. 사연들은 애틋하다. 그런데 그 사연들은 어쩐지 현재 우리의 그것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일종의 공감이라 할 수 있는데, 어떤 교훈이나 메시지보다도 감동적이다.


목차
머리말 조선시대 가족, 그 안과 밖의 사연
 
1부 장가들기, 남자가 움직이는 혼인
김종직은 왜 밀양에서 태어났을까?
신사임당은 현모양처인가?
왜 외할머니가 아이들을 더 많이 키우는가?
 
2부 처가 또는 외가의 위력
인목대비는 왜 아들보다 친정 집안을 선택했을까?
왕실의 외가, 단지 외척인가 정치적 파트너인가?
‘칠거지악’으로 부인이 쫓겨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적처, 적자들의 배타적 권리
조선에서는 사위도 연좌제에 걸릴까?
한때의 전통이 다른 시절엔 금기가 되다
 
3부 집안의 중심, 여자
딸들은 상속받은 재산을 결혼 후에도 소유했을까?
아들과 딸이 돌아가며 제사를 지내다
맏며느리의 저력
투기도 부덕도 여자의 생존 전략
중국의 전족, 조선에는 왜 없었을까?
신여성 인수대비
정부인 안동 장씨에 대한 오해
큰물에서 놀았던 소현세자빈 강씨
강정일당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
 
특별꼭지 조선의 혼인이 가족에 미친 영향
 
4부 가족들의 생활상
세 번 결혼한 양반은 진정 행복했을까?
종손이라는 것
사랑은 조선시대에도 불가해였을까?
사랑과 우정 사이
안 예쁜 여자는 없다
청과 조선의 경계, 그 땅의 풍속
우리는 시험을 좋아한다
고려와 조선이 타협한 장례 문화
왕실 제사에 암행어사를 파견하다
 
5부 조선 가족의 마이너리티
그 많은 홍길동은 다 어디로 갔을까?
서자 노수, 족보에서 ‘서’ 자를 빼다
과부는 재가할 수 없다
양반과 기생,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기생 석벽, 양반의 첩이 되다
기생 ‘머리 올려주기’의 진실
조선의 여성들, 불교의 명맥을 잇다
 
6부 우리가 도덕성에 열광하는 이유
어우동의 죽음, 도덕 사회로 가는 발판이 되다
어느 열녀의 퍼포먼스
화순옹주는 왜 스스로 죽음을 택했을까?
언제까지 도덕성 경쟁을 해야 하는가?
강정일당의 도덕성 열망
18세기 말에 쏟아진 간통 사건
 
이전글
가족부활이나 몰락이냐
다음글
가부장제의 창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