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묵자

저자
묵자 (지은이),신동준 (옮긴이)
서지
인간사랑
발간일
2018-11-20
조회수
966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묵자는 대략 공자가 세상을 떠난 지 10여 년 뒤 태어나, 맹자가 태어나기 10여 년 전 세상을 떠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예수보다 약 4백여 년 가량 앞서 인류가 서로 평화롭게 사는 비결을 전수한 셈이다. 그가 말한 ‘겸애’는 관념적인 사랑이 아니다. 타인을 이롭게 하는 것이 곧 자신을 이롭게 하는 길이라고 설파한 게 그렇다.
 
원래 <묵자>는 71편이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53편이다. 진시황의 천하통일을 계기로 묵가가 감쪽같이 사라지면서 <묵자> 또한 훼손을 면치 못한 결과다. 현존 53편으로도 나름 묵가사상의 요체를 파악할 수 있다.


목차

수정증보판 역자 서문
들어가는 글
 
 
제1부 묵자는 누구인가?
 
제1편 묵자는 어떻게 살았을까?
제2편 묵자는 어떻게 생각했을까?
제1장 묵자사상의 특징
제2장 묵자사상의 구성
제1절 겸애주의(兼愛主義)
제2절 비전주의(非戰主義)
제3절 절용주의(節用主義)
제3장 묵자사상의 전개
 
제2부 『묵자』?는 무엇인가?
 
제1편 『묵자』?는 어떻게 나왔을까?
제2편 『묵자』?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권 1
제1장 친사(親士)
제2장 수신(修身)
제3장 소염(所染)
제4장 법의(法儀)
제5장 칠환(七患)
제6장 사과(辭過)
제7장 삼변(三辯)
 
권 2
제8장 상현(尙賢) 상
제9장 상현(尙賢) 중
제10장 상현(尙賢) 하
 
권 3
제11장 상동(尙同) 상
제12장 상동(尙同) 중
제13장 상동(尙同) 하
 
권 4
제14장 겸애(兼愛) 상
제15장 겸애(兼愛) 중
제16장 겸애(兼愛) 하
 
권 5
제17장 비공(非攻) 상
제18장 비공(非攻) 중
제19장 비공(非攻) 하
 
권 6
제20장 절용(節用) 상
제21장 절용(節用) 중
제22장 절용(節用) 하 망실
제23장 절장(節葬) 상 망실
제24장 절장(節葬) 중 망실
제25장 절장(節葬) 하
 
권 7
제26장 천지(天志) 상
제27장 천지(天志) 중
제28장 천지(天志) 하
 
권 8
제29장 명귀(明鬼) 상 망실
제30장 명귀(明鬼) 중 망실
제31장 명귀(明鬼) 하
제32장 비악(非樂) 상
제33장 비악(非樂) 중 망실
제34장 비악(非樂) 하 망실
 
권 9
제35장 비명(非命) 상
제36장 비명(非命) 중
제37장 비명(非命) 하
제38장 비유(非儒) 상 망실
제39장 비유(非儒) 하
 
권 10
제40장 경(經) 상
제41장 경(經) 하
제42장 경설(經說) 상
제43장 경설(經說) 하
 
권 11
제44장 대취(大取)
제45장 소취(小取)
제46장 경주(耕柱)
 
권 12
제47장 귀의(貴義)
제48장 공맹(公孟)
 
권 13
제49장 노문(魯問)
제50장 공수(公輸)
 
권 14
제51장 비적(備敵) 망실
제52장 비성문(備城門)
제53장 비고림(備高臨)
제54장 비구(備鉤) 망실
제55장 비충(備衝) 망실
제56장 비제(備梯)
제57장 비인(備?) 망실
제58장 비수(備水)
제59장 비화(備火) 망실
제60장 비공동(備空洞) 망실
제61장 비돌(備突)
제62장 비혈(備穴)
제63장 비아부(備蛾傅)
제64장 비분온(備??) 망실
제65장 비헌거(備軒車) 망실
제66장 비습(備襲) 망실
제67장 비간(備間) 망실
제68장 영적사(迎敵祠)
제69장 기치(旗幟)
제70장 호령(號令)
제71장 잡수(雜守)
 
 
역자 후기-새로운 G1시대와 묵자사상
부록 묵자 연표
참고문헌
이전글
묵자 : 공자를 딛고 일어선 천민 사상가
다음글
논어고금주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