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관자

저자
관중 저, 신동준 역
서지
인간사랑
발간일
2015-01-20
조회수
1050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21세기 현재 자금성의 수뇌부와 세계 굴지의 기업CEO들은 『관자』를 옆에 끼고 평천하 방략을 짜고 있다. 겉으로는 공자를 중국의 역사문화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띄우면서 속으로는 경세제민과 부국강병의 이치를 탐구하는데 머리를 싸매고 있는 것이다. 정치경제학계도 비슷하다. 『관자』를 기본텍스트로 하는 관학管學이 『논어』를 텍스트로 삼는 공학孔學을 압도하고 있는 현상이 그렇다. 역대 중국 황제들이 구사한 외유내법外儒內法의 통치술을 좇고 있는 셈이다. ‘외유내법’은 겉으로는 유가의 덕치를 내세우면서도 속으로는 법가의 법치를 구사하는 통치술을 말한다.
 
중국 수뇌부와 기업CEO의 이런 행보는 비록 소를 잃기는 했으나 뒤늦게나마 외양간이라도 고친 덕분으로 볼 수 있다.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한국이다. 조선조 개창 이래 21세기 현재에 이르기까지 6백여 년 동안 줄곧 맹자의 왕도 이론에 함몰돼 있는 현실이 그렇다. 해방 이후 조선조 사대부가 맹종한 ‘왕도’를 ‘민주’로 바꾼 것만이 다를 뿐이다. 천하가 태평하고 나라가 평안한 치세에는 이런 주장이 나름 타당하다. 그러나 난세에 이런 주장을 펴는 것은 패망의 길이다.
 
『관자』는 『한비자』와 『상군서』 및 『손자병법』 등과 더불어 경세제민과 부국강병 계책의 보고에 해당한다. 관중이 역설한 경세제민과 부국강병 계책은 부민富民을 토대로 한 것이다. 애덤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시장의 자율과 ‘보이는 손’인 관청에 의한 시장질서 확립을 동시에 달성하는 게 요체이다. 관중은 바로 이런 입장에 서 있었다. 그가 40여 년 동안 제환공 을 곁에서 보필하면서 제나라를 문득 가장 부강한 나라로 만들어낸 비결이 여기에 있다.


목차

역자 서문
 
제1권 관중은 누구인가?
제1부 관중은 어떻게 살았을까?
제2부 관중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제1편 관자사상의 특징
제2편 관자사상의 구성
제1장 부강주의(富强主義)
제2장 존양주의(尊攘主義)
제3장 패도주의(覇道主義)
제3편 관자사상의 전개
 
제2권 『관자』는 무엇인가?
제1부 『관자』는 어떻게 나왔을까?
제2부 『관자』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일러두기
제1편 「경언經言」
제1장 목민(牧民)
제2장 형세(形勢)
제3장 권수(權脩)
제4장 이정(立政)
제5장 승마(乘馬)
제6장 칠법(七法)
제7장 판법(版法)
제8장 유관(幼官)
제9장 유관도(幼官圖)
 
제2편 「외언外言」
제10장 오보(五輔)
제11장 주합(宙合)
제12장 추언(樞言)
제13장 팔관(八觀)
제14장 법금(法禁)
제15장 중령(重令)
제16장 법법(法法)
제17장 병법(兵法)
 
제3편 「내언內言」
제18장 대광(大匡)
제19장 중광(中匡)
제20장 소광(小匡)
제21장 왕언(王言) 망실
제22장 패형(覇形)
제23장 패언(覇言)
제24장 문(問)
제25장 모실(謀失) 망실
제26장 계(戒)
 
제4편 「단어短語」
제27장 지도(地圖)
제28장 참환(參患)
제29장 제분(制分)
제30장 군신(君臣) 상(上)
제31장 군신(君臣) 하(下)
제32장 소칭(小稱)
제33장 사칭(四稱)
제34장 정언(正言) 망실
제35장 치미(侈靡)
제36장 심술(心術) 상(上)
제37장 심술(心術) 하(下)
제38장 백심(白心)
제39장 수지(水地)
제40장 사시(四時)
제41장 오행(五行)
제42장 세(勢)
제43장 정(正)
제44장 구변(九變)
 
제5편 「구언區言」
제45장 임법(任法)
제46장 명법(明法)
제47장 정세(正世)
제48장 치국(治國)
제49장 내업(內業)
 
 
제6편 「잡어雜語」
제50장 봉선(封禪)
제51장 소문(小問)
제52장 칠신칠주(七臣七主)
제53장 금장(禁藏)
제54장 입국(入國)
제55장 구수(九守)
제56장 환공문(桓公問)
제57장 탁지(度地)
제58장 지원(地員)
제59장 제자직(弟子職)
제60장 언소(言昭) 망실
제61장 수신(脩身) 망실
제62장 문패(問覇) 망실
 
제7편 「해언解言」
제63장 목민해(牧民解) 망실
제64장 형세해(形勢解)
제65장 이정구패해(立政九敗解)
제66장 판법해(版法解)
제67장 명법해(明法解)
 
제8편 「승마乘馬」
제68장 거승마(巨乘馬)
제69장 승마수(乘馬數)
제70장 문승마(問乘馬) 망실
 
 
제9편 「구부九府」
제71장 사어(事語)
제72장 해왕(海王)
제73장 국축(國蓄)
제74장 산국궤(山國軌)
제75장 산권수(山權數)
제76장 산지수(山至數)
제77장 지수(地數)
제78장 규탁(揆度)
제79장 국준(國准)
 
제10편 「경중輕重」
제80장 경중(輕重) 갑(甲)
제81장 경중(輕重) 을(乙)
제82장 경중(輕重) 병(丙) 망실
제83장 경중(輕重) 정(丁)
제84장 경중(輕重) 무(戊)
제85장 경중(輕重) 기(己)
제86장 경중(輕重) 경(庚) 망실
 
나가는 글 - G2시대와 관자 리더십
부록 1. 『사기』?「관중열전」
부록 2. 소순의 「관중론」
부록 3. 관중 연표
참고문헌
 
이전글
관자
다음글
역주 춘추번로의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