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현토완역) 시경집전 - 중

저자
주희 저 / 박소동 역
서지
전통문화연구회
발간일
2019-07-15
조회수
1537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동양고전총서의 21세기판, 오서오경독본五書五經讀本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설립 당시 광복光復 이후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의 기본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조차 제대로 된 번역서가 없어, 많은 학자들이 통탄을 금하지 못하였다. 본회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서삼경을 우선 번역하기로 하였다. 1990년 동양문화의 근간이자 한문교육의 기본원전 번역 사업인 동양고전국역총서 발간에 착수하여 1998년 『서경집전』과 『주역전의』를 끝으로 근 10년 동안의 노력에 마침내 방점을 찍었다.
 
당시에는 번역사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부족할 뿐 아니라 조급하게 번역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었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내외 연구 성과가 쌓임은 물론이고 동양학 열풍으로 높아진 독자의 지적호기심을 채우기에도 한계가 있었다. 마침내 2005년 개정증보판改訂增補版 사서四書를 발간하였으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 21세기판 동양고전번역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총서를 기획하였다. 이것이 바로 ‘오서오경독본’ 시리즈다. 오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소학小學』을, 오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가리킨다. 오서오경은 유학儒學과 동아시아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는 고전古典이다. 본회에서는 치밀한 준비와 연구를 거쳐 『논어집주』, 『대학 중용집주』에 이어 『시경집전』 세 권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목차

[中冊]
 
· 刊行辭 / 9
· 凡 例 / 12
詩經集傳 卷之八
? 一之十五 / 17
七月(칠월) 18
??(치효) 30
東山(동산) 34
破斧(파부) 40
伐柯(벌가) 43
九?(구역) 45
狼跋(낭발) 47
 
詩經集傳 卷之九
 
小雅 二?〔大雅說附〕
鹿鳴之什 二之一 / 52
鹿鳴(녹명) 53
四牡(사모) 56
皇皇者華(황황자화) 60
常?(상체) 64
伐木(벌목) 70
天保(천보) 74
采薇(채미) 79
出車(출거) 84
?杜(체두) 89
南?(남해) 92
白華之什 二之二 / 94
白華(백화) 94
華黍(화서) 94
魚麗(어리) 95
由庚(유경) 97
南有嘉魚(남유가어) 98
崇丘(숭구) 100
南山有臺(남산유대) 101
由儀(유의) 103
蓼蕭(육소) 104
湛露(잠로) 107
詩經集傳 卷之十
?弓之什 二之三 / 110
?弓(동궁) 110
菁菁者莪(청청자아) 113
六月(유월) 115
采?(채기) 120
車攻(거공) 125
吉日(길일) 131
鴻?(홍안) 134
庭燎(정료) 137
沔水(면수) 138
鶴鳴(학명) 140
詩經集傳 卷之十一
祈父之什 二之四 / 144
祈父(기보) 144
白駒(백구) 146
黃鳥(황조) 149
我行其野(아행기야) 151
斯干(사간) 154
無羊(무양) 162
節南山(절남산) 165
正月(정월) 173
十月之交(시월지교) 185
雨無正(우무정) 193
詩經集傳 卷之十二
小旻之什 二之五 / 200
小旻(소민) 200
小宛(소완) 205
小弁(소반) 210
巧言(교언) 218
何人斯(하인사) 223
巷伯(항백) 230
谷風(곡풍) 234
蓼莪(육아) 236
大東(대동) 240
四月(사월) 246
詩經集傳 卷之十三
北山之什 二之六 / 251
北山(북산) 251
無將大車(무장대거) 254
小明(소명) 255
鼓鍾(고종) 259
楚茨(초자) 262
信南山(신남산) 269
甫田(보전) 273
大田(대전) 278
瞻彼洛矣(첨피락의) 283
裳裳者華(상상자화) 284
詩經集傳 卷之十四
桑扈之什 二之七 / 288
桑扈(상호) 288
鴛鴦(원앙) 290
?弁(기변) 291
車?(거할) 294
靑蠅(청승) 298
賓之初筵(빈지초연) 300
魚藻(어조) 307
采菽(채숙) 308
角弓(각궁) 312
?柳(울류) 316
詩經集傳 卷之十五
都人士之什 二之八 / 319
都人士(도인사) 319
采綠(채록) 322
黍苗(서묘) 324
?桑(습상) 326
白華(백화) 328
?蠻(면만) 332
瓠葉(호엽) 334
漸漸之石(삼삼지석) 336
苕之華(초지화) 338
何草不黃(하초불황) 339
詩經集傳 卷之十六
大雅 三
文王之什 三之一 / 342
文王(문왕) 342
大明(대명) 350
?(면) 357
?樸(역복) 365
旱麓(한록) 369
思齊(사재) 372
皇矣(황의) 376
靈臺(영대) 387
下武(하무) 390
文王有聲(문왕유성) 393
 
 
附 錄
· 《詩經集傳 中》 도판 목록 / 403
 
이전글
(현토완역) 시경집전 - 상
다음글
(현토완역) 시경집전 -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