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 책은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변화 양상을 사회학, 문화인류락, 영문학, 식품영양학, 아동학, 미디어연구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연구한 결과에 근거하여 그 속에 살고 있는 이주민의 정체성 변화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또 20세기 이후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나타난 이주와 트랜스내셔널리즘의 다양한 야양상을 한국문학, 여성사, 근대사, 사회학, 문화연구 등의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등을 수록하고 있다. 국제비교한국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Comparative Korean Studes 18권 3호와 19권 1호에 수록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기획되었으며, 한국사회의 다문화적 특징과 양상을 심도있고 시의적절하게 연구했으며 미래의 변화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연구물들이다.
목차
서문
제1부 다문화사회와 이주민의 정체성
초국적 장과 초국적 정체성
초국가적 시민주체: 귀환한 해외 입양인들의 탈경계적 정체성
한국인의 국민정체성 국제비교연구: 자격요건 평가를 중심으로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Home) 만들기: 문화 접경지대 번역자로서의 이주여성
제주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양상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식생활 적응요인 및 식행동 연구
다문화사회와 참여적 미디어 교육: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일상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제2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주와 트랜스내셔널리즘
국가권력의 형성과 재일조선인 디아스포라: 김석범의 「화산도」론
김노의 작품에 재현된 재한 중국조선족 여성상
식민지 시기 일본 공장으로 간 제주 여성
제주해녀-바다를 횡단하는 트랜스내셔널 유목주체
이주여성 기업가: 일본 내 한국인 여성의 기업요인과 자원동원
해외입양인 내러티브에 나타난 침묵된 이주와 죽음의 이미지
- 이전글
- 트랜스내셔널 인문학으로의 초대
- 다음글
- 감성의 분할 – 미학과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