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가례와 한국의 예학

저자
노인숙
서지
문사철
발간일
2020년 06월 27일
조회수
1141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이 책의 주제는 남송의 주희(1130-1200)가 편찬한 『주자가례』와 그에 토대를 두고 전개된 조선의 예학이다. 선조들의 전통적 삶의 양식 속에 담긴 유학적 가치관과 그 문화적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가례와 한국예학은 저자 노인숙 교수의 37년 대학 강단 생활과 연구 일생에서의 일관된 화두였다.
 
유가사상에서 공자가 상고문화의 집대성자라면 주희는 근고문화의 집대성자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주희가 중국과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가례』는 인간의 품격 있는 삶의 도리가 부부로부터 출발하여 가정 속에서 완성된다는 전통적 가치관을 토대로, 주희의 이상이 반영된 가정의례준칙이다. 주희는 『가례』에서 새로운 시대정신에 맞추어 관혼상제에 있어 사인(士人)과 서인(庶人)의 차등을 없애는 통합적 의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의미의 종법(宗法)으로 가족 내에 유교 공동체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유학을 특정계층의 학문에서 만인의 삶의 양식으로 만든 것이다.
 
고려말 불교의 쇠퇴와 폐단은 변화의 요구로 이어졌다. 당대의 지식인들은 그 사상적 대안으로 유학에 주목했다. 『가례』 또한 이 시기에 전래되었다. 실질적으로 유교 사회였던 조선조는 『가례』를 받아들이며 실천유학을 중시하였고, 후기에 가서는 예학의 시기를 맞게 된다. 예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적시성(適時性)을 중시한다. 주희의 실천적 사상을 반영한 『가례』 또한 이 점을 중시하였고, 『가례』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조선 예학자들 역시 고래의 한국 전통 풍속과 조선 사회의 실정을 반영하여 시대에 맞는 예를 제정하고자 하는 고심을 보여주었다.
 
16세기 이후 이황, 이이, 김장생, 정구, 송시열, 허목, 이재 등 많은 석학 거유들은 이기(理氣) 심성(心性)을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성리학자임과 동시에 예의 적시성과 이론의 제도적 실천을 탐구한 예학자이기도 했다. 후기의 이익, 안정복, 정약용 등 실학자들 또한 예학 연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고 ‘서인가례(庶人家禮)’와 같은 유의미한 주장을 펼치기도 하였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가훈에 대한 연구와, 조선조 예학자들의 가계(家戒)를 부록으로 수록하고 있다. 가훈, 가계 또는 가풍이 가례와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예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방법론이다. 사회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에 대한 선현들의 탐구라고도 할 수 있다. 전례 없는 변화를 겪는 현대의 우리들은 이 책에서 통찰과 교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문
 
제1편 『주자가례』
 
제1장 『주자가례』의 문헌적 검토
1. 『주자가례』의 진위문제
2. 『주자가례』의 저술 과정과 동기
3. 『주자가례』의 판본
 
제2장 『주자가례』의 연원
1. 『주역』·『시경』
2. 삼례
3. 『논어』·『가어』·『가훈』·『개원례』
4. 북송 예서
 
제3장 『주자가례』의 구성과 내용
1. 「통례」
2. 「관례」
3. 「혼례」
4. 「상례」
5. 「제례」
 
제4장 『주자가례』의 특징
1. 형식의 특징
2. 내용의 특징
 
제Ⅱ편 『가례』의 한국 전래와 발전
 
제5장 『주자가례』와 성리학
1. 주자학과 『가례』의 전래
2. 고려 조정과 학계의 반응
3. 조선의 국가체제와 『가례』
4. 성리학의 심화와 『가례』
 
제6장 『주자가례』가 한국 예학에 미친 영향
1. 예학파의 형성
2. 예학파의 전개와 특색
3. 실학의 대두와 예학의 변천
 
제7장 이이의 「제의초」
1. 예서 『격몽요결』과 「제의초」
2. 『가례』의 「제례」와 「제의초」의 대비
3. 「제의초」 편찬의 원칙
4. 진성과 경종수족의 지향
 
제8장 김장생의 『가례집람』과 『상례비요』
1. 한국 예학의 종장
2. 『가례집람』 편찬정신
3. 『상례비요』에 나타난 특성
4. 한국적 가례의 대중화 선도
 
제9장 정구의 『오선생예설분류』
1. 학문 배경
2. 예학중심의 거경과 치용
3. 『오선생예설분류』의 편찬 동기와 과정
4. ‘왕사부동례’의 체제와 편차
 
제10장 이재의 『사례편람』과 정중기의 『가례집요』
1. 조선 사민의 사례
2. 이재의 『사례편람』
3. 정중기의 『가례집요』
 
제11장 이익의 『가례질서』
1. 예에 대한 실학적 관심
2. ‘서인가례’의 주창
3. 『가례질서』의 특성제
 
Ⅲ편 한국유학의 관혼상제
 
제12장 관례-사회적 존재로 나아가는 문
1. 성인 의식과 관례
2. 『의례』·『예기』의 관의
3. 관례의 변천
4. 종법과 사회 속의 자아
 
제13장 혼례-인륜의 바른 시작
1. 정시의 도리와 공동체 기초의 성화
2. 『사례편람』의 혼례 절차
3. 조선시대 ‘친영제 수용과 정착
 
제14장 상례의 의절과 상복-신종
1. 상례-그 신종의 절차
2. 상복의 기간과 원리
 
제15장 제례-보본추원
1. 사당의 연원과 변천과정
2. 가정의례의 통례로서의 사당
3. 한국의 제의의 시행과 ‘제의학’
 
부록 중국의 가훈과 한국 예학자의 가계
중국의 가훈과 조선 예학자의 가계
 
부록Ⅰ 중국의 가훈
 
제1장 안지추의 『안씨가훈』
1. 안지추의 가계와 시대 배경
2. 『안씨가훈』의 내용
3. 『안씨가훈』과 유학적 특징
 
제2장 사마광의 『가범』
1. 사마광의 예 의식과 『가범』
2. 『가범』의 체재와 내용
3. 『가범』의 내용 특성
 
제3장 원채의 『원씨세범』
1. 『원씨세범』의 특징
2. 『원씨세범』의 내용
3. 『원씨세범』과 사회 교화
 
제4장 증국번의 가훈
1. 증국번의 사상 배경과 학문성격
2. 학문의 목표와 방법
3. 팔자 팔본4. 증국번 가훈의 특징과 의의
 
부록Ⅱ 한국 예학자의 가계
 
제1장 이이의 동거계사
제2장 허목이 자손에게 내린 18조목의 훈계
제3장 권시가 두 아들에게 남긴 글
제4장 송시열이 출가하는 딸에게 준 경계의 글
제5장 홍여하가 아들에게 준 훈계
제6장 최석정이 아들에게 준 사덕의 잠언
제7장 이익이 자식에게 준 여덟 가지 가르침
제8장 박윤원이 딸에게 준 훈계
제9장 정약용이 두 아들에게 준 가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전글
(국역) 가례증해
다음글
정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