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유교공동체와 의례문화

저자
김미영
서지
민속원
발간일
2018년 02월 20일
조회수
1107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유교문화, 6백년의 시간동안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나? 유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 6백여 년이 흘렀다. 대개 외래문화는 10세대, 곧 3백년 정도가 지나면 토착화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이는 낯선 문화가 유입되어 세대를 거듭하는 동안 우리의 고유습속과 접촉 · 융합하면서 서서히 변형되어가는 것을 말한다. 유교문화 역시 중국에 유래를 두고 있지만, 6백년의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 실정에 맞춰 변화를 거듭해왔다. 따라서 현재 우리 주변에 남아있는 유교문화는 중국의 그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데, 이른바 한국화된 유교문화인 셈이다.
우리 주변에 남아있는 유교적 삶을 조명하다 오늘날‘ 유교’라는 용어 자체는 표면적으로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지만, 유교의 영향을 받은 이른바‘ 유교적 삶’은 여전히 건재한 편이다. 이 책의 집필목적은 우리사회 곳곳에 남아있는‘ 유교적 삶’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삶의 현장을 가족공동체와 마을공동체로 범주화시켜 살펴보고, 나아가 유교문화 가운데 아직도 우리의 삶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제례문화의 면면을 고찰하고자 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가족공동체의 이념과 실천
 
1장 유교의 가족이념과 종법제도
2장 가족과 친족문화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
3장 유교윤리의 교재, 『삼강행실도』
4장 격대교육의 전통과 현장
5장 영남 유학자의 자녀교육
 
제2부 마을공동체의 형성과 발달
 
1장 유교의 친족이념과 동성마을의 형성
2장 동성마을의 결속과 연대 원리
3장 동성마을의 구심체로서 종가
4장 동성마을의 구축과 발달 과정-안동권씨 가일마을의 사례
5장 의성 진민사를 둘러싼 지역성과 혈통성-의성김씨 시조묘의 사례
 
제3부 의례문화의 규범과 관행
 
1장 조상제사의 계승, 그 역사와 현재
2장 제례문화의 예학적 쟁점과 해석
3장 제례절차의 규범과 현장
4장 불천위 제례의 사회문화적 의미
5장 영남 유가儒家의 의례전통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전글
분재기에 나타난 조선 중기 상속 문화와 가족제도
다음글
韓國家族制度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