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안전, 영토, 인구

저자
미셸 푸코(글쓴이) 오트르망,심세광,전혜리,조성은 (옮긴이)
서지
난장
발간일
2011-08-22
조회수
1081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독일 비판철학자로 알려진 세계적 석학 위르겐 하버마스도 ‘동시대의 사상가’로 인정한 미셸 푸코의 화제작. 오늘날의 시대정신이라고 할 만한 ‘자유주의-신자유주의’의 본성과 작동방식을 적나라하게 분석·비판한 강의록이다.
 
원래 <안전, 영토, 인구>는 생명관리권력 개념을 심화시키려던 강의였다. 그러나 강의가 진행될수록 푸코는 ‘통치(성)’라는 개념을 전면에 부각시키고, 이 ‘통치(성)’ 개념에 의해 새로운 연구영역이 열린다. 근대 국가의 계보학이라는 영역이. 그리고 푸코가 새롭게 그리고 있는 이 근대 국가의 계보학은 자유주의에서 출발한다.
 
푸코가 파악한 자유주의의 핵심은 경제가 정치에 간섭하는 것, 즉 “경제의 형식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기술이다.” 경제의 어원인 ‘오이코노미아’가 원래 ‘가정관리술’을 뜻했다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치의 실천에 경제를 도입한다는 것은 국가의 수준에서 경제를 사용하는 것, 국가 전반에 경제를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장-자크 루소는 “가족 모두의 공동선을 위해 가정을 지혜롭게 통치하는 것”이 곧 경제라고 말하며 이 지혜로운 가정의 통치가 어떻게 국가의 관리에 유입될 수 있는지 아는 것이 문제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즉, 가족과 재산에 대해 한 집의 가장이 행하는 감시와 통제만큼이나 주민·국가의 부·만인의 품행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로 통치이다.


목차
 
프랑스어판 편집자 서문
 
1강. 1978년 1월 11일
강의 전체의 개괄: 생명관리권력의 연구 | 권력메커니즘 분석을 위한 다섯 가지 제안 | 법체계, 규율메커니즘, 안전장치: 두 가지 사례 ① 절도의 처벌, ② 나병·흑사병·천연두에 대한 대책 | 안전장치의 일반적 특징(1): 안전공간 | 도시의 사례 | 16~17세기 도시공간 정비의 세 가지 사례: ① 알렉상드르 르 메트르의 <수도론>(1682), ② 리슐리유, ③ 낭트
 
2강. 1978년 1월 18일
안전장치의 일반적 특징(2): 사건과의 관계, 통치술과 우연의 관리 | 17~18세기의 식량난 문제 | 중상주의자에서 중농주의자까지 | 사건 취급방식에서 안전장치와 규율메커니즘의 차이 | 새로운 통치합리성과 ‘인구’의 탄생 | 자유주의에 관한 결론: 통치이데올로기와 기술로서의 자유
 
3강. 1978년 1월 25일
안전장치의 일반적 특징(3): 정상화 | 규범화와 정상화 | 전염병(천연두)과 18세기의 예방접종 캠페인 | 새로운 개념(사례, 재해, 위험, 위기)의 출현 | 규율에서와 안전장치에서의 정상화 형식 | 인구의 통치라는 새로운 정치테크놀로지의 설치 | 중상주의자와 중농주의자가 본 인구 문제 | 지식 내부의 변환조작자로서의 인구: 부의 분석에서 정치경제학으로, 자연사에서 생물학으로, 일반문법에서 역사적 문헌학으로
 
4강. 1978년 2월 1일
16세기의 ‘통치’ 문제 | 다양한 통치실천: 자기통치, 영혼의 통치, 아동의 통치 등 | 국가통치의 특수한 문제 | 통치 관련 문헌에 대한 반발: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 군주의 단순한 수완과 구별되는 통치술 | <군주론> 수용의 약사: 19세기까지 | 새로운 통치술: 기욤 드 라 페리에르의 <정치의 거울>(1555) | 통치의 목적은 관리해야 할 ‘사물’에 있다 | 다양한 전술의 우선시로 인한 법의 후퇴 | 18세기까지 새로운 통치술의 사용을 가로막은 역사적·제도적 장애물 | 통치술의 장애 해제에 본질적 요소로 작용한 인구 문제 | 통치·인구·정치경제학이라는 삼각형 | 방법상의 문제: ‘통치성’을 둘러싼 역사적 기획, 국가 문제의 과대평가
 
5강. 1978년 2월 8일
왜 통치성을 연구하는가? | 국가와 인구 문제 | 기획 전체의 환기: ① 제도, ② 기능, ③ 대상에 관한 분석의 이동 | 올해 강의의 관건 | ‘통치’ 개념의 역사를 위한 요소: 13~15세기 통치의 의미론적 영역 | 인간의 통치라는 관념과 그 근원: ㉠ 그리스도교 이전과 이후 근동의 사목권력 조직, ㉡ 양심지도 | 사목에 관한 첫 번째 소묘(사목의 특성): ① 사목은 운동 중의 다수에게 행사된다, ② 사목은 가축 무리의 구제가 목표인 근본적으로 선을 행하는 권력이다, ③ 사목은 개별화하는 권력이다(전체적인 동시에 개별적으로, 목동의 역설) | 그리스도교 교회에 의한 사목의 제도화
 
6강. 1978년 2월 15일
사목의 분석(계속) | 그리스 문헌과 사유에서 목자와 무리의 관계 문제: 호메로스, 피타고라스학파의 전통 ─고전기 정치문헌에서 목자에 대한 은유의 희귀성(이소크라테스, 데모스테네스) | 중대한 예외, 플라톤의 <정치가>: 플라톤의 다른 텍스트에 등장하는 목자의 은유(<크리티아스>, <법률>, <국가>), <정치가>에서의 목자-행정관 관념 비판, 의사·농부·체육교사·교육자에 적용된 목자의 은유 | 인간에 대한 통치인 사목의 역사와 그리스도교의 분리불가능성(서구의 경우): 18세기까지 사목에서 일어난 변화와 위기 | 사목 역사의 필요성 | ‘영혼의 통치’의 특징: 포괄적이고 교회조직과 외연을 같이 하며 정치권력과 구별되는 권력 | 서구 정치권력과 사목권력의 관계 문제: 러시아 전통과의 비교
 
7강. 1978년 2월 22일
사목의 분석(끝) | 동방·히브리 전통과 대비되는 그리스도교 사목의 특수성 | 인간 통치술: 통치성의 역사에서 인간 통치술의 역할 | 3~4세기 그리스도교 사목의 주요 특징(성 크리소스토무스, 성 키프리아누스, 성 암브로시우스,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 카시아누스, 성 베네딕투스): (1) 구원과의 관계, 공덕과 과오의 체제(① 분석적 책임의 원칙, ② 철저하고 즉각적인 전이의 원칙, ③ 희생적 반전의 원칙, ④ 교대적 대응의 원칙), (2) 법과의 관계(양떼의 인도자와 양떼의 전면적 의존관계 수립, 개별적이고 최종 목적이 없는 관계, 그리스의 아파테이아와 그리스도교의 아파테이아), (3) 진실과의 관계(숨겨진 진실의 생산, 사목적 교육과 양심지도) | 결론: 개인화의 특수한 양태를 특징짓는 완전히 새로운 권력형태(주체의 역사에서 사목권력이 갖는 중요성)
 
8강. 1978년 3월 1일
‘품행’ 개념 | 사목의 위기 | 사목 영역에서 품행상의 반란 | 근대 정치제도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저항형태의 이동: 군대, 비밀결사, 의학의 예 | 어휘의 문제: ‘품행상의 반란,’ ‘복종거부,’ ‘반체제,’ ‘대항품행’ | 사목에 대한 대항품행(역사의 환기): ① 수덕주의, ② 공동체, ③ 신비주의, ④ 성서, ⑤ 종말론적 신앙 | 결론: 일반적인 권력행사 방식의 분석에서 사목권력 개념을 참조하는 것이 목표로 하는 바
 
9강. 1978년 3월 8일
영혼의 사목에서 인간의 정치적 통치로 | 이 변혁의 일반적 맥락: 16세기 사목의 위기와 품행상의 봉기, 개신교의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기타 요소 | 주목할 만한 두 현상: 종교적 사목의 강화, 사적·공적 영역에서의 품행 문제 증가 | 주권 행사 고유의 통치이성 | 성 토마스 아퀴나스와의 비교 | 우주론적·신학적 연속체의 단절 | 통치술 문제 | 역사에서의 인식가능성 문제 | 국가이성(1): 새로운 것과 스캔들의 대상 | 국가이성 논쟁의 세 가지 요점: 마키아벨리, ‘정치,’ ‘국가’
 
10강. 1978년 3월 15일
국가이성(2): 그 정의와 17세기의 주요 특징 | 국가이성이 내포하는 역사적 시간성의 새로운 모델 | 사목적 통치와 관련해 국가이성이 갖는 특질: ① 구원의 문제 ─가브리엘 노데의 쿠데타 이론(필연성, 폭력, 연극성), ② 복종의 문제 ─프랜시스 베이컨(소요의 문제), 베이컨과 마키아벨리의 차이, ③ 진실의 문제 ─ 군주의 지혜에서 국가에 대한 지식으로(통계학의 탄생, 비밀의 문제) | 국가의 문제가 그 속에서 출현한 성찰적 프리즘 | 이 새로운 문제계에서 ‘인구’라는 요소의 현존과 부재
 
11강. 1978년 3월 22일
국가이성(3) | 인식가능성의 원칙과 목표로서의 국가 | 통치이성의 기능: ① 이론적인 텍스트 내에서 국가 유지의 이론, ② 정치적 실천 내에서 국가들간의 경쟁관계 | 베스트팔렌 조약과 로마제국의 종말 | 정치적 이성의 새로운 요소인 힘 | 정치와 힘의 역학 | 새로운 통치술을 특징짓는 첫 번째 기술적 총체로서의 외교·군사체계 | 그 목표로서의 유럽 균형의 탐구: 유럽이란 무엇인가? ‘평형상태’라는 관념 | 그 도구: (1) 전쟁, (2) 외교, (3) 항구적인 군사장치의 설치
 
12강. 1978년 3월 29일
국가이성에 따른 새로운 통치술을 특징짓는 두 번째 기술적 총체: 내치(16세기까지의 전통적 의미, 17~18세기의 새로운 의미, 국력 선용을 확보케 해주는 계산과 기술) | 유럽의 균형체계와 내치의 세 가지 관계 |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의 상이한 상황 | 루이 튀르케 드 마이에르느의 <귀족민주주의적 군주제> | 국력의 구성요소인 인간활동의 통제 | 내치의 대상: (1) 시민의 수, (2) 생활필수품, (3) 건강, (4) 직업, (5) 인간의 공존과 순환 | 인구의 삶과 복지를 확보하는 관리술로서의 내치
 
13강. 1978년 4월 5일
내치(계속) | 니콜라 들라마르 | 내치가 완성되는 장인 도시: 내치와 도시의 통제화, 영토의 도시화, 내치와 중상주의적 문제계의 관계 | 시장-도시의 출현 | 내치의 방법: 내치와 사법의 차이, 본질적으로 통제적인 권력 유형, 통제화와 규율 | 곡물 문제로의 복귀 | 식량난 문제를 출발점으로 이뤄지는 내치국가 비판: 곡물가격, 인구, 국가의 역할에 관한 경제학자의 학설 | 새로운 통치성의 탄생: 정치가의 통치성과 경제학자의 통치성 | 국가이성의 변형: (1) 사회의 자연성, (2) 권력과 지식의 새로운 관계, (3) 인구의 관리(공중위생, 인구학 등), (4) 국가 개입의 새로운 형식, (5) 자유의 위상 | 새로운 통치술의 요소: 경제적 실천, 인구관리, 자유에 관한 법권리와 자유의 존중, 억제적 기능을 갖는 내치[경찰] | 새로운 통치성에 관한 대항품행의 형식 | 전체 결론
 
강의요지
강의정황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이전글
공간, 장소, 젠더
다음글
가족과 통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