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천리 밖에서 나는 죽고 그대는 살아서 - 추사 집안의 한글 편지와 가족사

저자
정창권
서지
돌베개
발간일
2020-02-20
조회수
93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한글 편지로 보는 추사 김정희 집안의 5대 가족사 이야기. 추사 집안의 한글 편지는 모두 85통이다. 이 편지는 추사 김정희를 비롯하여 선대와 후대 등 모두 5대의 가족이 주고받은 한글 편지라는 점에서, 18~19세기 가족의 생활과 문화, 언어, 의식 등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여러 세대 다양한 가족 구성원의 편지가 이렇게 한꺼번에 많이 남아 있는 경우는 추사 집안이 거의 유일하다.

이 편지에는 당시 여성의 역할과 의식뿐 아니라 남성의 집안일 참여 모습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나아가 이들 편지에는 추사의 학문과 예술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또 추사의 글과 그림, 글씨 등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추사의 인간적인 면모는 어떠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여성은 집안일을 맡고, 남성은 바깥일에 전념할 뿐 집안일에는 일절 관여하지 않았을 거라는 기존의 생각은 추사 집안의 한글 편지 앞에서 여지없이 깨진다. "남자가 부엌에 들어오면 큰 인물이 못 된다"는 고리타분한 말이 여전히 통용되고, "82년생 김지영"이 일하는 엄마들의 눈물을 쏟게 만드는 이 시대에, 조선 시대 남성의 모습은 파격이다. 이 편지들은 당시 남성이 담당했던 집안일이 상당히 많았고, 또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보여주는 실증적인 자료다.

추사 집안의 한글 편지는 여성사·가족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다. 저자는 85통의 편지를 현대어로 번역하면서 편지와 편지 사이의 행간과 여백을 스토리텔링적인 요소를 가미해 생동감 있고 흥미진진하게 연결하고 메웠다. 발신자, 수신자 소개는 물론 편지를 쓴 시기와 상황을 조사해 시공간적인 배경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해설까지 덧붙여 한 편의 이야기처럼 구성했다. 그래서 85통의 편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추사 집안의 5대 가족사 이야기가 장대한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목차


서문 ― 한글 편지로 보는 추사 집안의 5대 가족사 이야기

시작하며 ― 특별하지만 평범한, 그리고 아름다운 집안

1부 추사 집안의 한글 편지
증조모 화순옹주가 혜경궁 홍씨에게 받은 편지
조모 해평윤씨의 편지
외조모 한산이씨의 편지
어머니 기계유씨의 편지
아버지 김노경의 편지
막내 동생 김상희의 편지
증손자 김관제의 편지

2부 추사의 한글 편지
아내 예안이씨에게 보낸 편지
며느리 풍천임씨에게 보낸 편지

마치며 허울뿐인 조선의 가부장제

추사 집안 가족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이전글
지금은 대체 어떤 세계인가
다음글
Rites of Return: Diaspora Poetics and the Politics of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