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장애학의 도전 - 변방의 자리에서 다른 세계를 상상하다

저자
김도현
서지
오월의봄
발간일
2019-11-04
조회수
78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당신은 장애를 아는가》, 《장애학 함께 읽기》 등의 책을 통해 ‘장애’를 ‘개인의 몸’에 존재하는 손상이 아닌 ‘사회적 산물’로 볼 것을 강조한 노들장애인야학 교사 겸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김도현이 10년 만에 새로운 저서로 돌아왔다. 김도현은 여러 저작과 번역서를 통해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면면을 날카롭게 분석하는 한편, 장애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열어주는 해외의 여러 이론들도 활발히 소개해왔다. 이번에 펴낸 새 책 《장애학의 도전》에서는 장애인을 비롯해 인간의 위계에서 가장 후미에 위치한 이들의 자리에서 사회를 바라보고자 했다.

그 ‘변방의 시좌’로 장애인과 소수자를 향한 편견 어린 사고를 낱낱이 파헤치는 동시에, 지금 우리 사회에서 가장 첨예한 장애 문제들을 정면으로 다뤘다. 여전히 지배적인 ‘우생학’ 논리, 장애인이 겪는 사회적 억압과 배제, 장애인의 자립.자기결정권.노동 등 그 자체로 대단히 중요하고도 논쟁적인 화두를 엮어낸 것이다. ‘장애인 차별 철폐’ 외침이 계속되는 투쟁 현장과 연구 그 무엇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고 몰두해온 저자의 세심한 통찰을 따라가보자.


목차


책을 내며·6

1부 접속

1장 장애학, 지금 여기의 콜라보 미션·21
1. 장애학, 왜 필요한가·23
2. 장애학이란 어떤 학문인가·30

2장 ‘손상’은 어떻게 ‘장애’가 되는가·47
1. 장애인이라는 범주를 의심하다·49
2. 차별받기 때문에 장애인이 된다·59
3. 장애 문제는 장애인의 문제가 아니다·78

2부 성찰

3장 우생학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87
1. 20세기 전반기를 휩쓴 우생학의 실체·94
2. 우생학, 새로운 간판을 내걸다·121
3. 우생학 파는 사회: 뒷문으로 이루어지는 우생학·139

4장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해방인가 또 다른 차별인가·161
1. 차별과 위계를 정당화하는 인간중심주의·163
2.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여전한 위계와 서열·168
3. 우리 모두는 연결되어 있다·184
4. 에필로그: 철학(자)의 악몽·195

5장 장애인에게 정의란 무엇인가·199
: 장애 정치의 시선으로 프레이저의 정의론 읽기
1. 우리에게는 ‘분배’와 ‘인정’ 양자가 필요하다·204
2. 정체성 모델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217
3. 장애인, 참여에서 배제당하는 자·226
4. 인권의 정치, 정의의 경계를 다시 묻다·234

3부 전환

6장 당사자주의의 환상을 넘어 횡단의 정치로·253
: 장애인 당사자주의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1. 장애인 당사자주의란 무엇인가·258
2. 당신의 해방과 나의 해방은 따로 떨어져 있는가·268
3. 횡단의 정치: 뿌리내리고 또 옮기기·276
4. 당사자주의는 운동의 ‘이념’이 아니다·284
보론 정체성, 해체할 것인가 횡단할 것인가·289

7장 자립과 의존의 이분법을 넘어 공생의 세계로·299
1. 정립: 부정한 몸들을 ‘수선’하다·303
2. 자립: 그 가능성과 함정·308
3. 연립: 홀로서기도 의존도 아닌, 함께 서기·315

4부 도전

8장 자기결정권, 나와 너 ‘사이’의 권리·333
: 연립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기결정권
1. 능력에 따라 누리는 것은 권리가 아니다·338
2. 자기결정권, 혼자서 결정한 대로 할 수 있는 권리?·343
3. 자기결정권은 사회권이다·350
4. 누가 성년후견제도를 말하는가?·356

9장 모두를 위한 노동사회를 향해·361
1. 불인정 노동자로서의 장애인·366
2. 왜 이것은 노동이 아니란 말인가?·370
3.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정투쟁·377
4. 노동시장을 넘어 공공시민노동 체제로·387

참고문헌·403
찾아보기·414

 
이전글
페미니스트, 퀴어, 불구 - 불구의 미래를 향한 새로운 정치학과 상상력
다음글
사회면역 : 팬데믹 시대의 생명정치 - 팬데믹을 돌아보며 팬데믹을 대비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