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명동 아가씨-근현대 여성 공간의 탄생

저자
김미선
서지
마음산책
발간일
2012-08-05
조회수
79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명동 백작의 거리에서 근현대 여성 공간을 발견하다. 1950년대에서 1960년대 사이의 명동을 떠올리면 이봉구의 명동, 박인환과 김수영 등 남성 문학인들이 다방이며 술집에서 어울려 세상을 논하고 문학을 탐하는 모습이 연상된다. 이들은 '생활'과 동떨어진 낭만을 꿈꾸며, 한국전쟁 후 폐허나 다름없는 서울 한복판에서 자조 섞인 노래를 불렀다.

하지만 당시의 명동은 그들만의 거리가 아니었다. 낭만의 거리, 데카당의 거리가 아닌 삶이 살아 숨 쉬는 거리였다. 명동은 전쟁으로 피폐해진 사람들의 삶과 황폐해진 서울을 되살리는 희망의 거리였다. 여성학 연구자 김미선은 당시의 명동 거리를 여성의 소비문화 중심지로 새롭게 바라보며, 지금의 명동이 있기까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지만 주목받지 못했던 숨은 목소리를 되살려낸다.

지금까지 명동의 공간성을 탐사한 연구는 적지 않았다. 하지만 대부분 명동의 건축물을 논하거나 남성 문인들의 근거지로 바라보는 데 그쳤으며 '명동' 그 자체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작업은 거의 없었다. <명동 아가씨>에 집약된 저자의 연구는 명동의 공간성을 여성의 시각으로 바라보되 그 역사적 의미를 성별적인 시각에 제한하지 않고 왜곡 없이 드러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나 1970년대 이후 민주화, 산업화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취급받은 한국전쟁 직후의 대한민국 모습을 그렸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여원」을 비롯한 여성지와 각종 일간지 자료들과 더불어 당대를 경험한 '명동 사람들'의 생생한 구술 인터뷰까지 어우러져 근현대 여성의 공간, 명동을 조명한다.


목차


프롤로그
들어가며

여성, 명동으로 모이다

1. 근대적 소비 공간의 탄생
조선의 '빠리'가 된 본정과 명치정
"유행이 거기서 다 나왔지"

2. 새로운 삶에 눈을 뜨다
서울의 축소판, 명동
유행이 삶의 양식으로 자리 잡다

여성, 명동을 만들다

3. 소비 공간이 생활 공간으로
매혹의 공간에 모인 사람들
유혹하는 잡지와 친근해진 명동 패션
여성의 소비는 사치일 뿐인가?

4. 생활 공간이 문화 공간으로
소비하는 여자, 노동하는 여자
양재사와 미용사의 직업 세계
생활을 문화로 만든 사람들

5. 문화 공간이 나의 정체성으로
여성이 만드는 여성의 공간
같은 공간, 다른 사람들

에필로그

도판 및 인용 출처

 
이전글
트라우마의 제국
다음글
페미니즘 지리학-지리학적 지식의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