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트라우마의 제국

저자
디디에 파생,리샤르 레스만
서지
바다출판사
발간일
2016-04-12
조회수
105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개요

피해자가 어떻게 문화적으로 정치적으로 존중받게 되었는지, 또 트라우마가 어떻게 그 자체로 의심의 여지가 없는 도덕적 범주가 되었는지를 짚는 책이다. 두 가지 계보를 따라 전 세계의 다양한 예시를 제시하며 트라우마 개념을 면밀히 살핀다. 하나는 정신분석을 거쳐 정신의학에서 트라우마를 정의해나간 지식의 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피해자를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 계보이다.

트라우마는 어떻게 피해자의 고통을 입증하는 개념으로 대두되었는가? 그 과정에서 누가 드러나고 누가 은폐되었는가? 피해자는 어떻게 정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가? 트라우마는 그 과정에서 어떻게 사회적 불평등을 확산하는가? 이러한 질문을 통해 트라우마로 재난과 고통을 말할 때 그 결과가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정치적으로 어떻게 귀결되는지, 이때 문제되는 것은 무엇인지를 짚으며 트라우마의 현대적 정치성과 피해자 의식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풀어낸다.

트라우마를 치유하거나 그것에서 해방하자고 말하는 대중서적과 교과서적인 정신의학 이론서, 그도 아니면 트라우마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 일색의 소수의 책 사이에서 이 책은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인류학자의 시선으로 시대적 구성물인 트라우마의 사회적 현상을 분석한다.


목차


옮긴이 서문 6
서문 - 새로운 언어로 사건을 말하다 18

1부 진실의 반전

1장. 이중의 계보 ··························· 53
논란의 의의 | 트라우마의 탄생 | 노동법
2장. 오랜 추적 ·····························76
겁쟁이냐 죽음이냐 | 잔혹한 치료법 | 전쟁이 끝난 후 | 프랑스의 역사
3장. 모두 고백하라, 내밀한 것까지 ·············102
전쟁정신분석 | 돈벌이 신경증 | ‘전쟁영웅’의 진실 | 살아남은 자의 죄책감
4장. 의심의 시대는 끝났는가 ··················131
여성운동, 아동보호운동, 따로 또 같이 | 비정상적인 사건을 원인으로 봉헌하다
마지막 증인, 전쟁범죄 가해자 | 베이비킬러도 휴머니티를 가지고 있다!

2부 배상의 정치

5장. 피해정신의학 ··························174
피해자 권리운동 | 프랑스 정신의학계의 무관심 | 피해학, 태생적 모호함
피해학은 독립된 분야인가
6장. 툴루즈 ································203
모든 일이 트라우마로 귀결되다 | 응급심리지원은 꼭 필요한가
불평등과 배제 | 위로와 보상
트라우마의제국_

3부 증언의 정치

7장. 인도주의 정신의학 ······················255
하나의 기원, 두 개의 설명 | 시작은 정신의학이 아니라 인도주의였다
전쟁의 경계선에서 | 인도주의 실천의 선구자들
8장. 팔레스타인 ····························293
증언의 필요성 | 고통의 연대기 | 팔레스타인인이든 이스라엘인이든 피해자는 피해자이다
역사성 없는 역사들

4부 입증의 정치
9장. 추방자의 심리외상학 ····················347
이민자의 위치, 원주민과 외국인 사이 | 수용소의 진료관행
패러다임의 변화 | 몸이 보여주는 증거
10장. 난민 ·································383
난민 | 트라우마는 증거가 될 수 있는가 | 진단서는 진실을 말하는가
언어의 무게에 관하여

결론 - 트라우마의 도덕경제 421

참고문헌 437
찾아보기: 인명 및 지명 457
찾아보기: 주제 460


이전글
퀴어 코리아-주변화된 성적 주체들의 한국 근현대사
다음글
명동 아가씨-근현대 여성 공간의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