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8
|
중앙일보
|
‘할머니 이모가 아기 봐주면 30만원 지원’ 서울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
20230117 |
 |
974 |
807
|
경향신문
|
‘보호’라 쓰고 ‘수용’이라 읽는다 사회적 약자 거주시설의 현주소[시설사회, 그 너머(상)]
|
20230116 |
 |
971 |
806
|
동아일보
|
등하원-병원 동행 돌봄에 틈새 없앤다
|
20230112 |
 |
983 |
805
|
중앙일보
|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650만명 연금액 최대 인상 했는데, 1년 빈손 61 65년생은 허탈
|
20230111 |
 |
994 |
804
|
한겨레
|
‘1만5천명’ 돌봄 대기 해소? 발표서 빠진 노동조건 개선도 과제
|
20230110 |
 |
993 |
803
|
경향신문
|
“병원 안심동행, 창문잠금 장치 보급” 경기도, 1인 가구 지원책 마련
|
20230110 |
 |
990 |
802
|
한겨레
|
돌봄사회를 위한 사회정책의 전환
|
20230109 |
 |
999 |
801
|
경향신문
|
한부모 위기청소년 지원 확대 ‘성평등’은 또 빈칸
|
20230109 |
 |
994 |
800
|
경향신문
|
취약계층 돌봄에 ‘자본 논리’ 들이댄 정부 노인 장애인 위한 사회서비스 ‘차등화’ 추진
|
20230109 |
 |
1,010 |
799
|
한국일보
|
복지부, 약자복지 확대 필수의료 강화에 '올인'...위기가구 AI 상담도
|
20230109 |
 |
998 |
798
|
경향신문
|
1% 불과한 노인 공공돌봄 민간 주도가 만든 부조리의 연쇄[공공돌봄 어디로 가나]
|
20230108 |
 |
1,012 |
797
|
중앙일보
|
"돌봄 거래소 만들죠" 아이디어 100건, 경기도 무제한 워크숍
|
20230108 |
 |
1,015 |
796
|
경향신문
|
국 영 수 대신 삶 가르치는 ‘마을 방과후 교사들’
|
20230108 |
 |
1,019 |
795
|
한국일보
|
코로나 사태 때 서울 초등생 10명 중 1명 '나홀로 집에'
|
20230105 |
 |
1,017 |
794
|
경향신문
|
“초등 돌봄교실 연장” 오후 7시까지 독서지도, 예체능 프로그램 등 운영[양구군]
|
20230105 |
 |
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