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단정보 바로가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보기

전체메뉴닫기
아카이브

철학/역사학

  • 홈
  • 아카이브
  • 인문DB
  • 인문고전
  • 철학/역사학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듣기의 윤리-주체와 타자, 그리고 정의의 환대에 대하여

저자
김애령
서지
봄날의박씨
발간일
2020-04-20
조회수
480
SNS 공유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구글 플러스 공유하기 카카오 스토리 공유하기
듣기의 윤리













개요

공적 공간에서의 말하기와 듣기, 서사 정체성뿐 아니라 서발턴·이방인·환대에 대해, 나아가 주체의 불투명성과 취약성,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정의와 책임과 연대에 대해 숙고하고 있는 『듣기의 윤리』는, 저자 김애령이 오래전 만나 관계를 맺어온 ‘자신의 삶에 대해 말할 수 없는 여성’들에게 어떻게 언어를, 자기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목소리를 돌려줄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시작되었다.

학술적으로는 은유와 서사 정체성 등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계속 탐사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 ‘타자의 부름에 어떻게 응답할 것인가’라는 문제, 곧 듣기의 윤리에 대해 숙고한다. 리쾨르, 아렌트, 데리다, 레비나스, 스피박, 버틀러, 아이리스 매리언 영 등 현대 철학의 핵심적인 사유와 쟁점들을 배경으로, 주체의 불투명성과 인간 실존의 취약성, 그리고 타자(서발턴)의 ‘말할 수 없음’에 대해 고찰하며, 궁극적으로 “우리는 어떤 세계에서 살고자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너도 말하라’ - 말하는 주체

1장. 말하는 인간, 호모 로쿠엔스(Homo Loquens)

1.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가?
“오뒷세우스의 노래”
목소리(phone)와 말(logos) 사이의 간극

2. 말하는 주체
활동적 삶(vita activa)의 인간적 조건
노동, 작업, 행위
행위와 언어의 장소: 사람들 사이(in-between)
사멸하는 인간의 불멸하는 이야기

3. 말할 수 있는 자격
언어의 공공성과 말 없는 경험
수행적 발화와 참여의 경계
내부의 ‘무국적자’
말할 수 있기 위해서 먹어야 한다는 것

2장. 서사 정체성

1. 삶과 이야기의 관계
“삶은 이야기다”
행동의 묘사, 미메시스(mimesis)
텍스트의 전후: 세 층위의 미메시스
텍스트 형상화 이전(以前): 경험세계의 이야기적 특징
형상화 이후(以後): 이야기 읽기

2. 서사 정체성
실존의 조건: 시간의 아포리아(aporia)
시간의 자리, 현재
서사 정체성
말하기의 에토스

3. 윤리적 주체화
서사 정체성의 윤리적 의미
‘좋은 삶’이라는 목표와 ‘더불어 살기’라는 조건

2부. ‘그림자를 드리운 말’ - 듣기의 윤리

1장. 전달 (불)가능성

1. 말할 수 없는 경험
폭력의 재현 불가능성
그럼에도 말해야 한다는 책무와 불안
문채(figure)와 실증성
레비의 절망

2. 낯선 언어
언어 난민
“언어는 남는다”
“나는 단 하나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나의 것이 아니다”
단절과 문화적 소외
낯선 모국어, 그리고 약속으로서의 말하기

[보론] 번역에 대하여
번역자의 과제
벤야민의 ‘번역’ 개념
순수언어와 타락
바벨신화와 번역
번역 가능성

2장. 다른 목소리 듣기

1. 서발턴의 말하기
서발턴 역사 쓰기: “이야기하도록 허용하기”
“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
인식소적 폭력 아래에서, “서발턴은 말할 수 없다”

2. 서발턴 여성의 말은 들릴 수 있는가?
이중구속된 언어
인식소적 폭력과 서발턴 여성의 말하기
들리지 않는 목소리

3. 경계에서 사이를 듣기
침묵을 헤아려 듣기 위해서
듣기 위한 윤리

3장. 환대 공간의 언어

1. 이방인의 현상학
누가 이방인인가?
낯선 이
물음을 던지는 자
공동체 질서의 교란자

2. 이방인의 권리
환대권, 칸트의 ‘영구 평화론’으로부터
환대권의 모호성

3. 조건부 환대, 관용
관용(tolerance)의 제도화
관용의 역설
관용을 해체해야 하는가?

4. 절대적 환대의 이념
조건부 환대, 관용의 자기 배반
무조건적인 환대의 이념
위험한 환대

5. 환대 공간에서의 권력 관계
환대할 수 있기 위해서: 누가 말하는가?
환대와 젠더
절대적 환대의 이념

6. 정의의 환대
법에서 정의로, 또는 정의의 권리에 대하여
정의의 아포리아
듣기의 윤리와 정의의 환대

3부. ‘떠도는 말’을 따라 - 응답하기

1장. 취약성에 응답하는 한 줌의 도덕

1. 관계적 정체성
윤리적 경청의 조건
주체화에 개입하는 타자성
오뒷세우스의 역설·타자와의 관계에 위탁된 나의 이야기
독특한 고유성에 닿기 위한 물음, ‘너는 누구인가?’

2. 불투명한 주체
언어 규범
주체화의 거점이자 한계인 신체
서사의 한계와 주체의 불투명성

3. 취약성에 응답하기
윤리적 폭력 비판
취약성(vulnerability)이라는 공통의 현실

2장. 정의로운 응답하기

1. 정의에 대하여
부정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정의의 분배 패러다임
분배 패러다임 비판
억압과 지배

2. 정의에 대한 책임
구조적 부정의
책임의 사회적 연결

3. 우정과 연대
응답하기
우정과 연대

맺는 말

참고문헌 | 찾아보기

이전글
에로스의 종말
다음글
나를 빌려 드립니다-구글 베이비에서 원톨로지스트까지 사생활을 사고파는 아웃소싱 자본주의